인구 감소 위기의 배경에는 여러 사회·경제적 요인이 있다. 우선 N포세대들이 취업난으로 연애, 결혼, 임신을 미루면서 청년들의 비혼(非婚), 만혼(晩婚) 현상이 심화된 것을 들 수 있다. 늦은 취업,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증가, 육아나 경제적인 부담감, 여성의 사회생활 증가로 출산 연령이 고령화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불임도 늘고 있다.
결혼이 늦어지면 아기 낳기를 꿈꿔도 임신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30대, 40대 노산 여성의 증가가 출산율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까? 정부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출산 장려 복지제도를 내놓고 있고, 기업도 여성들의 업무 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만혼으로 인한 난임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 우리 사회의 관심이 부족한 것도 문제이다. 인공수정(人工受精)이나 체외수정(體外受精·시험관아기)을 시도하려는 불임·난임 부부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해 주는 정책이 있긴 하지만, 전체 비용에 비하면 지원 금액이 턱없이 낮은 편이다.
시험관아기의 경우 한 번에 성공하는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몇 차례 큰 비용을 들여 시도하다가 포기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갈수록 만혼이 많아지면서 여성은 물론 남성들까지 신체적 조건이 나빠져 아기를 낳는 것이 꿈이 돼 버린 사람들도 점점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제부터라도 정부나 지자체는 출산 후 50만 원, 100만 원 양육비를 주는 복지 제도를 시행하기에 앞서 아기를 원해도 낳기 힘든 불임·난임 부부나 만혼 부부들을 위한 정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출산율 최저 국가로서의 오명을 지우기 위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불임·난임 부부를 위한 새로운 지원 정책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