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도 중국 엑소더스 가세...주요 거래처에 중국 생산 해외 이전 촉구

입력 2019-06-19 18: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멕시코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대체 생산지로 유력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 AP뉴시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 AP뉴시스

미국 애플이 주요 기업들의 ‘중국 엑소더스’ 행렬에 가세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9일(현지시간) 애플이 주요 거래처에 아이폰 등 자사 제품의 중국에서의 집중 생산을 피하도록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애플은 거래처에 중국에서 생산되는 자사 납품용 부품 중 15~30%를 해외로 이전하도록 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애플을 주요 고객으로 하는 여러 서플라이 체인 관계자로부터 이같은 사실을 확보했다.

애플 제품의 90%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며, 그 금액은 10조 엔(약 108조 원)이 넘는다. 애플의 이 같은 조치는 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하면서 그 리스크를 분산할 목적으로 풀이되며, 이는 향후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에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중국 외에도 대만, 일본, 한국 등 각지에 거래처가 있다. 애플이 공개한 2018년 납품 업체 목록을 보면, 직접 거래처만 약 200개다. 최근 홍콩을 포함한 중화권 부품 업체 비율은 20%가 넘는다. 애플이 부품 조달에 쓰는 비용은 10조 엔 이상이다. 대만 훙하이정밀공업 한 곳만 해도 애플과의 거래액이 약 9조 엔에 달한다.

앞서 애플은 2018년 말 회사 내에 30~40명 규모의 특별팀을 구성했다고 한다. 특별팀은 거래처와 중국 이외에서의 생산 실현 가능성 등 자세한 논의를 진행했는데, 이는 중국에 집중된 생산을 방지하는 게 목적이었다.

애플이 이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미국이 대 중국 수입품에 네 번째 제재 관세를 부과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깔려 있다.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네 번째 관세가 부과되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중국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아이폰 같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의 제품이다. 제재가 발동되면 애플은 미국에서 제품 가격을 대폭 인상하거나 추가 관세 분을 자체 흡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다만 신문은 중국의 인건비가 크게 오르고 있어 애플은 네 번째 제재가 없더라도 생산 다각화 방침을 바꾸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애플의 특별팀은 서플라이 체인 업체의 중국 대체 생산 후보지가 되는 국가에서의 조사 외에도 투자 우대 등 현지 정부와의 협상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멕시코,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애플 제품은 저가 아이폰 등 극히 일부의 인도 생산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중국에서 조립되고 있다. 최대 공급 업체는 훙하이정밀공업이다. 훙하이는 중국 광동성 선저시와 허난성 정저우시를 중심으로 거대 공장을 두고 중국에서 약 80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외에 대만 페가트론은 아이폰, 콴타는 노트북 컴퓨터 맥북, 콘팔은 태블릿 아이패드를 중국에서 집중 생산하고 있다. 모두 중국 공장에서 조립해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 시장으로 출하됐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 업체 모두 애플로부터 중국에서의 생산 이전을 검토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훙하이의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류양웨이 대표는 지난 11일 사업 설명회에서 “고객인 애플과 24시간 체제로 무역 마찰의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고객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중국 이외의 생산) 늘릴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 1990년대부터 제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노하우와 공급·물류망이 구축됐다. 애플의 완제품을 만드는 훙하이 등 공장 주변에는 많은 부품 업체들이 밀집해 있어 곧바로 다른 나라로 생산을 옮기는 게 쉽지는 않다. 주요 거래처 경영진은 신문에 “애플이 요구하는 품질 수준이 높고, 중국 이외에서 생산 체제를 갖추려면 적어도 1년 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애플의 라이벌 화웨이테크놀로지는 미국의 제재로 연 4000만 대의 스마트폰 감산 방침을 밝혔다. 신문은 미중 양국을 대표하는 애플과 화웨이의 잇따른 전략 전환으로, 두 회사와 거래하는 전 세계 1만 개 이상의 서플라이 체인이 대대적인 사업 전략 수정 압박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일릿 카피 때문" 민희진 주장 반박한 하이브 CEO…전사 이메일 돌렸다
  • 임영웅·아이유·손흥민…'억' 소리 나는 스타마케팅의 '명암' [이슈크래커]
  • 중소기업 안 가는 이유요?…"대기업과 월급 2배 차이라서" [데이터클립]
  • 법무부, ‘통장 잔고 위조’ 尹대통령 장모 가석방 보류
  • 윤보미·라도, 8년 열애 인정…"자세한 내용은 사생활 영역"
  • 단독 ‘70兆’ 잠수함 사업 가시화…캐나다 사절단, K-방산 찾았다
  • 단독 삼성전자 엄대현 법무실 부사장, 이례적 ‘원포인트’ 사장 승진
  • U-23 아시안컵 8강 윤곽…황선홍 vs 신태용 ‘운명의 대결’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76,000
    • -0.16%
    • 이더리움
    • 4,652,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732,500
    • -1.74%
    • 리플
    • 799
    • +0.38%
    • 솔라나
    • 227,700
    • +1.92%
    • 에이다
    • 729
    • -2.67%
    • 이오스
    • 1,217
    • -2.48%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69
    • -0.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4,000
    • -0.95%
    • 체인링크
    • 21,970
    • -1.48%
    • 샌드박스
    • 709
    • -0.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