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성장동력 잃은 보험업계

입력 2019-10-31 17: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요즈음 같은 때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전략입니다."

최근 영업방향을 묻는 말에 돌아온 대형보험사 관계자의 대답이다. 공격적으로 영업해봤자 금융당국에 밉보이기 일쑤고, 과거 고금리 상품을 공격적으로 판매했다가 수십 년 후 부메랑으로 돌아온 사례를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들린다.

그도 그럴 것이 최근 보험시장은 저금리 지속과 인구구조 변화, 경기 부진 등으로 성장동력이 약화됐다. IFRS17 도입과 이에 따른 감독 기준 강화까지 제도 변화에 따른 변수가 산적해 있고, 당국ㆍ소비자와의 분쟁으로 보험업계의 피로도는 여느 때보다 올라와 있다.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보험업계는 2015년 보험 자율화로 인가제로 운영되던 보험상품의 사전신고제가 사후보고제로 변경되면서 더욱 신중해졌다. 자칫 상품을 잘못 설계해 판매했다가 추후 책임을 고스란히 안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치매보험과 무해지보험 상품이다. 보험사 자율적으로 상품을 개발해 판매해 수익을 올렸으나, 당국의 약관변경 권고와 불완전판매 논란으로 역풍을 맞고 있다. 보험사들은 '차라리 사전신고제 때가 낫다'는 말도 거침없이 쏟아내고 있다. 어찌 보면 이해가 될 법도 하다.

그렇다고 움츠러든 채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한국 보험산업은 지난 20년간 높은 성장률로 세계 7위에 안착했다. 경제성장과 함께 커왔으며, 잠재성장률이 높아 위기가 닥쳤을 때 회복이 빨랐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시장의 변화와 함께 제도적인 변화까지 대응하려다 보니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버거운 상황이다. 더 이상의 시장 발전이 없다면 세계 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보험사들은 지금과 같은 저성장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단순한 외형성장에서 벗어나 수익성과 자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영 패러다임으로 변화할 필요하다. 과거 성장 가도를 걸을 때보다 더 바삐 움직여야 한다. 금융당국도 보험산업 규제에만 신경 쓸 게 아니라 대응책 마련에 함께 신경 써야 할 것이다. 당국이 강조하는 금융혁신에 어느 샌가부터 보험은 예외로 치부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4PM' 구독하고 스타벅스 커피 받자!…유튜브 구독 이벤트
  • “흙먼지에 온 세상이 붉게 변했다”…‘최악의 황사’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동성 결혼, 반대하는 이유 1위는? [그래픽뉴스]
  • 도지코인, ‘X 결제 도입’ 기대감에 15.9% 급등 [Bit코인]
  • “청와대 옮기고, 해리포터 스튜디오 유치”…4·10 총선 ‘황당’ 공약들 [이슈크래커]
  • 드디어 ‘8만전자’...“전 아직 96층에 있어요” [이슈크래커]
  • 주중 재벌, 주말 재벌, OTT 재벌…‘드라마 재벌家’, 이재용도 놀랐다 [요즘, 이거]
  • 지하철 파업 때는 ‘대체 인력’ 있지만 버스는 단 한 대도 안 와…왜?
  • 오늘의 상승종목

  • 03.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9,865,000
    • -0.69%
    • 이더리움
    • 5,050,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832,500
    • +2.78%
    • 리플
    • 876
    • -1.24%
    • 솔라나
    • 265,000
    • -0.53%
    • 에이다
    • 916
    • -1.29%
    • 이오스
    • 1,583
    • +3.94%
    • 트론
    • 170
    • -1.16%
    • 스텔라루멘
    • 201
    • +2.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133,200
    • -0.45%
    • 체인링크
    • 26,950
    • -2.67%
    • 샌드박스
    • 1,002
    • +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