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검찰이 M&A와 관련된 사안들을 부정ㆍ부패 척결 수사의 핵심으로 조준하면서 포스코의 환부 도려내기는 사실상 막을 올렸다.
◇비자금 조성 의혹 전 계열사로 확대= 검찰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포스코의 계열사가 조성한 의혹을 받고 있는 비자금의 사용처다. 포스코건설에 이어 성진지오텍에서도 비자금 조성 의혹이 드러난 만큼, 검찰은 자금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자금 사용처와 정준양 전 회장의 무리한 M&A 시도는 서로 연결고리가 있을 것으로 검찰 안팎은 추정하고 있다. 2008년 정준양 전 회장 취임 이전 31개였던 포스코의 계열사는 2011년 71개까지 무한 확장됐다.
당시 본지 취재에 따르면, 2009~2012년까지 18개의 포스코 계열사가 자본잠식 상태였다. 투자은행(IB)업계 고위 관계자는 “자본잠식인 계열사가 이렇게 많은 것은 정상적인 기업경영 상황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준양 전 회장의 무리한 M&A가 기업 성장보다는 정권 실세에 대한 보은과 같은 곁가지 사안에 무게를 실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하고 있다. 청탁으로 인한 인수→비자금 조성→실세에 대한 보은과 같은 과정이 수 차례 순환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경우 피날레는 정준양 전 회장이 아닌 MB정권의 실세가 될 것이란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본지는 당시 인수 과정에 관여했던 핵심 관계자의 증언을 통해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에는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2차관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보도를 한 바 있다.
특히 정준양 전 회장이 인수한 여러 기업 중 성진지오텍은 수사의 핵심으로 꼽히고 있다. 성진지오텍의 회계 법인의 2008~2009년 결산 회계 감사에서는 ‘기업으로의 존속 능력에 의문이 제기된다’는 판정이 나왔다. 그러나 포스코는 이 회사를 당시 평균 주가(주당 8300원)의 2배에 가까운 금액(주당 1만6330원)에 인수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정준영 전 회장 시절 포스코가 외압으로 기업을 인수한 적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검찰 속전속결, 이번주 관계자 줄소환= 검찰의 포스코 수사는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르면 이번 주부터 각종 의혹에 연루된 포스코 전ㆍ현직 임직원들이 줄 소환돼 검찰의 조사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준양 전 회장과 함께 출국 금지 조처된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의 소환 시기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동화 전 부회장은 정준양 전 회장의 자금줄 역할을 했을 것이란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현재 정동화 전 부회장의 재임 시절 횡령과 배임 의혹을 집중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내는 배경에는 포스코가 이번 수사를 사전에 인지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포스코 본사는 지난 6일 포스코건설의 송도사무소를 찾아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된 자료를 대거 수거했다. 검찰의 포스코건설 압수수색이 있기 1주일 전이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증거 은닉 및 손실 가능성을 우려, 수사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