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의 자살이 일반인들 사이에 모방자살로 이어지는 ‘베르테르 효과’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베르테르 효과는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출간된 18세기 말 유럽에서 소설 주인공 베르테르를 흉내 낸 모방자살이 급증한 데서 붙여진 것으로, 의학적으로는 보통 유명인 자살 후 1개월 이내를 ‘모방자살’로 본다.
22일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전홍진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년간 국내에서 자살로 사망한 9만4845명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기간동안 자살 사건으로 TV와 신문에 1주일 이상 보도된 유명인은 모두 13명이었다. 이들이 사망하고 나서 1개월 이내에 자살한 사람은 1만7209명으로 전체 자살의 18.1%를 차지했다.
또 유명인 1명이 자살한 후 1개월 동안 하루 평균 자살자는 45.5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명인 자살 전 1개월간 하루 평균 자살자가 36.2명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하루 평균 9.4명의 자살자가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이런 상관성은 유명인이 연예인이나 가수인 경우에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자 중에서도 20~30대 여성은 유명인의 자살 방법까지도 그대로 모방하는 경우가 많았고, 유명인 사망 후 자살률이 크게 높아지는 시점에 이런 경향이 더 강했다. 젊은 여성이 자살 보도에 더 민감한데다,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가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전홍진 교수는 “일반인의 모방자살을 줄이는 차원에서라도 큰 스트레스를 받거나 정신건강의 문제가 생긴 유명인이 쉽게 도움을 받을 수 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