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실제로는 공기감염 가능성에 대해 열어 두고 있으면서 공기감염 가능성을 부인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5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최초 환자가 발생한 ⓑ병원의 경우 병실마다 있어야 하는 환기구와 배기구가 없었다. 때문에 최초 감염자의 기침으로 공기 중에 나온 침방울과, 바이러스로 오염된 손과 접촉한 환자복 등에서 발생한 먼지 등은 환기나 배기가 되지 않은 채 병실 안에 쌓였다.
이런 오염된 물방울과 먼지 등을 빨아들인 에어컨은 찬공기를 배출하면서 바이러스를 가스(에어로졸) 상태로 공기 중에 내뿜은 것으로 보고있다. 에어로졸 상태가 된 침방울 입자 등은 훨씬 먼 공간까지 떠서 이동, 다른 병실과 층까지 옮겨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5개 병실에서 에어컨 필터를 꺼내 조사한 결과 알엔에이(RNA) 바이러스 조각이 검출됐다.
이에 대해 중앙대 약학대학 설대우 교수는 “오늘 정부가 에어컨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을 발표한 것 자체가 공기를 통한 감염을 시인한 것이다”며 “그동안 정부에게 공기를 통한 감염 가능성에 대해 경고해 왔는데 이제서야 인정하는 셈이 됐다”고 말했다.
황우석 박사 논문조작 사건을 최초로 제기했던 생명과학자들의 커뮤니티 ‘브릭(BRIC)’에서도 공기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이디 ‘나나**’를 사용하는 한 전문가는 “백과사전에도 코로나바이러스는 공기 전파가 된다고 버젓이 나와 있는데 (정부는) 왜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를 얘기하며 그보다 더 크니 공기 전파가 안 된다고 단언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메르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이다.
보건당국이 의료진에게 권고하는 대응책을 봐도 공기감염 가능성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보건당국은 최근 메르스 의심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에게 “N95 이상의 호흡 마스크, 고글, 안면부 가리개, 1회용 가운을 착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질병관리본부가 신종 감염병을 치료하는 의료진을 교육할 목적으로 제작ㆍ배포하는 자료에 비교해보면 이런 대응은 비말감염이 아닌 공기감염일 경우 전하는 대응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따하 추후에 공기를 통한 감염이 진행되는 것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