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사후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당국이 중증 환자 파악도 못한다'라는 성토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7일 공개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5번째 희생자가 사망 이후 뒤늦게 감염 사실이 확인된 것으로 밝혔다. 이날 추가 발표된 사망자는 75세 남성 환자로 지난달 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다가 메르스 바이러스가 옮은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같은 응급실에는 평택성모병원에서 메르스에 걸린 14번 환자(35)가 상경해 치료를 받고 있었다.
해당 사망자는 해당 응급실을 찾은 지 열흘 만인 이달 5일 숨졌다. 메르스 감염 확진은 사망 다음 날인 6일에야 이뤄졌다.
'뒷북' 확진은 이번뿐만 아니다. 또다른 사망자인 36번 환자(82)는 지난달 30일부터 의심 환자로만 격리돼 대전에서 계속 치료를 받다가 3일 사망했고 그 이후에 확진 판정을 받았다.
1일 경기 지역에서 숨진 25번(57·여) 환자도 당국의 초기 모니터링에서 빠져 있다가 사망 이후 뒤늦게 확진 판정이 나와 여론의 질타가 쏟아졌다.
메르스가 첫 환자가 병을 옮겼던 초기 전파 양상을 넘어 전염 경로가 다양해지는 상황에서 사후 확진 속출을 두고 인터넷 등에서는 '방역망 구멍이 너무 크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발병 병원과 지역을 계속 함구한 채 신속하게 감염을 막겠다는 정부 계획이 사실상 실패하면서, 잇따른 사후 확진이 보건 당국의 신뢰성을 해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크다.
한림대 성심병원 이재갑 교수(감염내과)는 "메르스 환자의 치료 사실을 병원이 당국에 제대로 못 알리면서 생긴 원시적 문제"라면서 "당국이 병원 정보를 공개하기로 한 만큼 정보 공유의 증가와 함께 문제가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건 당국은 메르스 감염 검사가 1회에 최소 7∼9시간이 걸리는데다 같은 환자라도 검사 횟수마다 '양성' 여부가 엇갈리는 등 어려움이 많아 일부 혼선이 불가피하다고 호소한다.
메르스 검사는 환자의 객담이나 분비물에서 핵산을 추출해 메르스 바이러스 유전자를 찾는 것이 골자로 각 시·도 보건환경연구원(1차)과 충북 청주의 국립보건연구원(2차) 검사를 거쳐 결과를 확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