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를 채권자보다 못하게 대접하는 회사, 참지 말고 조직적으로 대응합시다.”
회사의 소홀한 대우에 폭발한 소액주주들이 실력 행사에 나섰다. 전·현직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가 하면 구체적인 요구를 담은 주주제안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22일 BYC소액주주협의회에 따르면 이들은 17일 사측을 상대로 ‘주주명부 열람 및 등사 가처분 신청’을 서울남부지법에 접수한 상태다.
협의회 관계자는 “BYC는 유보이익이 8400%에 달하고 최근 3년간 평균 순이익이 200억원을 웃도는 데도 배당성향이 3.6%에 불과하다”며 “대주주 일가가 소유한 관계사와의 내부거래 비중이 높아 경영 투명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KT 소액주주들은 회사가 불법행위로 과징금을 내면서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고 KT 전 CEO들을 상대로 257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냈지만 지난 17일 1심에서 패소했다. 소액주주 측은 즉각 항소할 방침을 밝혔다.
이들이 제기한 주주대표소송은 총 발행 주식의 0.01% 이상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주주들이 회사에 손해를 끼친 이사를 상대로 배상을 청구하는 제도다. 배상이 결정되면 해당 금액은 회사로 귀속된다. 주주 개인에게 직접 돌아오는 실익이 없음에도 장기적 권익 제고를 위해 나선 것이다.
토비스 소액주주들은 지난해 5월 보유 주식을 고점에서 매도한 임직원에 대해 해임과 징계를 요구하는 주주제안을 내며 이번 주총에서 목소리를 높일 계획이다.
최근에는 토비스와 셀트리온 등 상장사 개인 주주들이 주가 하락을 막고자 공매도 규제를 외치며 대차거래를 하지 않는 증권사로 주식 계좌를 이관하는 등 실력행사를 하고 있다.
소액주주들의 등장이 전보다 활발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의 활동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18일까지 주총 일정을 공시한 상장사 287곳 중 3월 11·18·25일에 주총을 여는 곳이 무려 193곳(67%)에 달한다. ‘주총 쏠림현상’이 주주권 행사를 제한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지만 올해도 병폐가 이어지고 있다.
전자투표제를 도입한 회사도 지난해와 올해를 통틀어 522곳에 불과하다. 전체 상장기업이 2037곳인 점을 고려하면 아직 많은 소액주주가 말을 삼킬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