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받는 미국 채권, 해외 기관투자자 1월에만 68조원 팔아

입력 2016-03-17 08:11 수정 2016-03-17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78년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경제불황·저유가로 유동성 확보 총력

▲출처 CNBC
▲출처 CNBC

안전자산으로 통하던 미국 채권이 해외 기관 투자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올해 1월 해외 중앙은행과 주요 기관투자자가 매도한 미국 국채 규모가 572억 달러(약 68조2600억원)로 집계됐다고 미 경제방송 CNBC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작년 12월 480억 달러를 웃돌 뿐만 아니라, 월간 기준으로는 관련 집계를 시작한 1978년 이래 역대 최고치다. 이 같은 미국 채권 매도 현상은 지난해 해외 중앙은행들이 225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매도한 것의 연장선이다.

린지그룹의 피터 부크바 수석시장애널리스트는 “해외 투자자는 더 이상 과거에 미국 국채를 사들였던 우호 세력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CNBC는 해외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에 나선 데는 경기침체와 저유가로 인한 타격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실례로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인 중국도 해외채권을 청산하고 있다. 위안화 가치 절하, 주식시장의 극심한 변동성으로 경기둔화가 심화하자 자국 경제 부양 목적으로 자금 투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월에 82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 국채를 정리했다.

주요 산유국 정부와 중앙은행들도 저유가로 타격을 입은 국고를 채우기 위해서 현금 확보가 필요했을 것이라고 CNBC는 분석했다. 노르웨이, 멕시코, 캐나다, 콜롬비아는 지난 1월 국제유가가 12년 만에 배럴당 30달러를 밑돌자 미국 채권 보유 규모를 줄였다.

다만 미국 채권에 대한 선호도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고 CNBC는 전했다. 해외에서 보유하고 있는 미국 채권 규모는 6조1800억 달러로 오히려 늘었다는 것이다. 일본, 브라질, 벨기에처럼 미국 채권 보유 비중을 늘리고 있는 국가도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1.99%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는 2년 전 3%에 육박했을 때와 비교하면 큰 폭으로 낮아진 것이다. 채권 금리가 낮아졌다는 것은 해당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NBC는 “채권 수요가 지속되는 것은 세계 경제가 불안정한 가운데 미국 경제가 상대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480,000
    • -0.05%
    • 이더리움
    • 5,093,000
    • +2.89%
    • 비트코인 캐시
    • 737,000
    • +3.51%
    • 리플
    • 2,637
    • +10.98%
    • 솔라나
    • 332,200
    • -0.48%
    • 에이다
    • 1,500
    • +3.38%
    • 이오스
    • 1,305
    • +1.71%
    • 트론
    • 286
    • +1.06%
    • 스텔라루멘
    • 738
    • +0.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600
    • +1.37%
    • 체인링크
    • 26,250
    • +5.63%
    • 샌드박스
    • 936
    • +5.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