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간정보연구 논의 위해 ‘공간정보 연구사업 공개토론회’ 개최

입력 2016-12-1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 연구개발 사업의 혁신 방안과 장기 로드맵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3일 판교 디지털센터에서 ‘2016년 국토공간정보연구사업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

공개토론회에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정보공사 등 공간정보 전문기관과 함께 공간정보 산업‧학계 전문가 약 100여 명이 참가한다. 공간정보는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가상 현실(VR), 스마트 도시 등 신산업의 기반 플랫폼으로 공간정보 기술의 혁신이 새로운 서비스와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이 된다. 예를 들어 센티미터(cm)수준의 정밀한 위치를 제공하는 기술은 드론에 활용돼 무인 배달 서비스나 무인 트랙터 등 신산업의 기반이 된다.

국토부는 2013년 수립한 공간정보 알엔디(R&D) 종합계획에 따라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최근 부각되고 있는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 미래 유망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공간정보 기반 융복합 기술 개발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9월부터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기술 기획연구’를 추진해 미래 유망 산업 및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공간정보 융합 기술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R&D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

무인이동체, 무인 자원 탐사, 지능형 건설 등 미래 유망 산업에서 필요한 공간정보 핵심 기술을 도출하고 기술 수준의 분석과 투자 우선 순위를 고려한 연차별 연구개발 추진 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 중 공간정보 R&D 로드맵을 완성하고 2018년부터 신규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공개토론회는 공간정보 기술의 혁신 방안과 공간정보 R&D 로드맵을 논의하는 자리다. 공간정보 R&D 로드맵의 수립 방향과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산‧학‧연 각 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갖는다. 발표‧토의 시간 이후에는 산업계‧학계의 공간정보 기술 수요를 조사하고 신규 과제를 발굴하는 회의를 진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개토론회에서 우리가 선진국 수준의 공간정보 기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기술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면서 “공간정보 기술 혁신이 공간정보와 유망 산업과의 융합을 촉진하고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995,000
    • -0.67%
    • 이더리움
    • 5,105,000
    • +2.59%
    • 비트코인 캐시
    • 733,000
    • +3.24%
    • 리플
    • 2,583
    • +11.29%
    • 솔라나
    • 337,300
    • -0.27%
    • 에이다
    • 1,510
    • +2.1%
    • 이오스
    • 1,323
    • +13.46%
    • 트론
    • 285
    • +0.71%
    • 스텔라루멘
    • 737
    • -0.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150
    • +1.54%
    • 체인링크
    • 25,590
    • +2.36%
    • 샌드박스
    • 910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