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금융과 IT의 융합으로 더 빠르고 안전하게 금융거래가 이뤄진다. 이 같은 핀테크 시대를 대비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이다.
전 세계적으로 금융과 IT의 융합 트렌드가 확산되는 이유는 뚜렷하다. 적은 비용으로 국가 간 상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어 수출시장을 쉽게 열 수 있다. 수입상을 통해서 해외 물건을 구입했던 이전과 달리 해외 직접구매를 의미하는 ‘직구’라는 상거래 시스템의 등장도 이 같은 트렌드를 확산시키고 있다. 모바일 뱅킹과 앱카드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금융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보안이다.
핀테크 시스템은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투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여전히 보안 문제를 풀어야 할 숙제로 남기고 있다. 이 숙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은 한마디로 서버의 다양화다. 시중은행은 커다란 서버를 운영하면서 고객 자산과 예금을 관리한다. 그러나 하나 또는 몇 개로 나뉜 이 서버가 해커의 공격을 받는다면 금융 거래는 쉽게 마비된다. 블록체인은 이 같은 시스템을 벗어나 각각 사용자의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서버를 하나씩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해커 입장에서는 은행 서버뿐 아니라 전체 이용자의 51%를 해킹해야 원하는 이익을 편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순 해킹으로 금융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금전적 이익을 취하기 어려워진다. 이때문에 블록체인을 두고 ‘공공 거래장부’라고도 부른다.
블록체인은 개인과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컴퓨터가 모든 거래 장부를 복사해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물론 위·변조를 검증하기 때문에 사실상 위·변조를 불가능하게 만든 기술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 주식원장, 보험원장, 부동산계약서, 전자투표지, 지식재산권 등 믿지 못하는 당사자들이 신뢰 자산을 안전하게 전달, 교환, 저장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이다 이는 곧 데이터 및 자산거래의 신뢰성을 제공해 거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줘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주목 받고 있다.
공인인증서나 패스워드 없이 간편하게 본인 인증을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지문인증 서비스’는 이미 우리 금융업계에도 등장했다. 지난해 11월 롯데카드는 간편하게 본인 인증이 이뤄지는 ‘지문인증 서비스’를 자사 카드 앱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시중 은행들도 핀테크 시대를 주도할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신한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은 금융 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대표적인 핀테크 관련 특허 등록을 통해 본격적인 기술 경쟁에 대비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무려 331건의 핀테크 관련 특허를 보유 중이다.
정부도 핀테크 관련 업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규모를 크게 늘려 2019년까지 3년간 3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블록체인과 빅데이터에 중점을 두고 핀테크 지원센터 기능을 강화키로 했다. 올해 상반기 중으로 ‘2단계 핀테크 발전 로드맵’도 내놓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