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3%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우리 정부가 7월 ‘양호한 흐름’을 예상하며 전망치를 0.1%P 소폭 조정한 것과 대비된다.
OECD는 20일(한국시간)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한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각각 2.7%, 2.8%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5월 전망보다 0.3%P, 0.2%P 각각 낮춘 수치다. 우리 정부의 수정 전망치인 2.9%(올해)보다도 0.2%P 낮다.
OECD는 매년 2회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는데, 9월 전망에선 글로벌 통상 갈등 등 하방 리스크 확대를 감안해 주요국들의 성장률 전망치를 전반적으로 5월보다 낮춰 잡았다.
그중에서도 한국은 성장률 전망치 조정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이뤄졌다. 올해 성장률의 경우 터키(-1.9%P), 아르헨티나(-3.9%P), 브라질(-0.8%P), 남아프리카공화국(-1.0%P)을 제외하면 가장 큰 조정 폭이다. 성장률 전망치가 제시된 19개국 중 한국의 성장률 순위는 5월 5위에서 7위로 두 계단 하락했다. 전망치가 유지된 미국(2.9%)과 호주(2.9%)에 역전된 탓이다.
이에 따라 정책 기조도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우리 정부의 경제성장률 전망은 상대적으로 낙관적이었다. 기획재정부는 7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9%로 0.1%P 낮췄다. 반면 한국은행(2.8%)과 한국개발연구원(KDI, 2.7%) 등 국내 기관들은 물론, 골드만삭스(2.7%), 노무라(2.8%) 등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올해 전망치를 0.2~0.3%P 하향 조정했다.
LG경제연구원도 이날 ‘2019년 국내외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올해 2.8%, 내년 2.5%로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해 우리 경제 3% 성장을 이끈 것은 반도체 효과”라며 “반도체 수요는 장기적으로 확대하겠지만 미국, 중국 등의 늘어난 반도체 투자로 공급 능력이 커지면서 지난해와 같은 호황은 지속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정부가 받는 압박감도 더해질 수밖에 없다.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추세적으로 잠재성장률이 하락하고 있고, 박근혜 정부에서는 한 해를 빼고 전부 성장률이 2%대였다”며 “이를 감안하더라도 OECD 등 국제기구와 한국은행에서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전망치를 내놓는다면 정부의 전망이나 정책도 수정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