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2019 전미경제학회(AEA) 연례총회’에 참석해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빠르고 유연하게 변경할 준비가 돼 있고 필요하다면 연준이 ‘상당히 많이’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유연성과 함께 연준이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인내심 있게 지켜볼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날 파월 의장의 발언은 ‘연준 전·현직 의장 공동 인터뷰’를 위해 벤 버냉키, 재닛 옐런 등과 함께 미리 준비한 내용이었다. 그는 “시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겠다”며 전임 의장과 전 세계 경제 석학이 모인 자리에서 ‘긴축 속도 조절’을 공식화했다.
긴축효과를 뒷받침하는 보유자산 축소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파월은 “만약 문제가 된다면 정책변경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1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직후 기자회견에서 “(보유자산 축소 정책이) 목적에 기여하고 있고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던 것과 정 반대되는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당시 연준은 올해 두 차례 금리인상 의지도 밝혀 금리 동결 또는 인하까지 예상했던 투자자들을 실망케 했다. 그 여파로 뉴욕증시가 수일간 폭락하는 모습을 본 파월 의장이 새해 들어서는 시장에 우호적인 신호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시장이 보내는 메시지에 민감하게 귀를 기울이고 있다”며 “다만 경제지표와 금융시장이 상충하는 상황에서는 리스크 관리에 더 주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날 발언으로 시장에서는 지난 3년간 진행된 금리인상이 올해 예상보다 이르게 마무리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돌고 있다. 4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746.94포인트(3.29%) 급등한 2만3433.16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4.05포인트(3.43%), 나스닥 지수는 275.35포인트(4.26%) 상승했다.
긴축정책 중단 분위기에 증시는 반짝 환영했지만 미국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지난해 12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제조업지수는 54.1%로 시장 컨센서스(57.9%)는 물론 11월 59.3%에 비해서도 크게 하락했다. 2008년 10월 이후 월간 최대 낙폭이다. 여기에 중국의 경기 둔화까지 가속화되면 세계 경기가 연쇄적으로 침체할 우려가 크다.
한편에선 금리인상 노선이 중단될 경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생긴 ‘시장 왜곡’에 대한 교정을 미처 마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준이 금융위기 이후 4조 달러 이상의 자금을 시장에 풀면서 재무적으로 취약한 기업의 부채가 팽창했고 신흥국의 달러화 부채도 크게 늘었는데 금리 인상을 멈추게 되면 이 위험을 해소할 계기가 뒤로 미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연준은 세계 경기가 악화할 때 5% 이상도 금리를 인하하면서 ‘바닥 붕괴’를 막아왔지만 (금리인상 노선이 중단되면) 연준이 경기 악화 시에 기동성있게 대응할 여지를 되찾지 못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