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소비구조 '절약형'으로 개편 시급

입력 2008-07-23 0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에너지 수급에 비상등이 켜졌다. 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으나 에너지 과소비 풍조는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에너지 위기론'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고유가를 극복하고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습관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고유가…에너지 소비는 '펑펑'

하지만 이를 비웃듯 에너지 소비는 고유가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펑펑' 사용하고 있다.

22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에너지수요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최종에너지 수요는 지난해보다 1.6% 늘어난 1억8440만TOE(1 TOE는 원유 1톤 연소시 나오는 에너지양)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종에너지 수요는 크게 산업용(57.6%), 가정·상업용(22.0%), 수송용(20.4%)으로 나뉜다.

올 1분기 최종에너지 수요는 지난해보다 4.3% 늘어난 5070만TOE를 기록했다. 이처럼 에너지 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늘어나는 것은 가정·상업용 에너지 수요가 진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정·상업용 수요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6% 증가했다. 연간으로는 4.4%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경연 관계자는 "1분기에는 난방용 수요가 늘어 가정·상업용 수요가 크게 늘었다"며 "가정·상업용 에너지 수요 비중은 지난해 22.0%에서 올해 22.6%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체 에너지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용 에너지도 줄지 않기는 마찮가지다.

올해 산업용 에너지 수요가 전년 대비 1.8% 증가한 1억640만TOE에 달할 것으로 에경연측은 예상했다. 증가율은 가정·상업용(4.4%)보다 높지 않지만 실제 증가량은 가정·상업용보다 10만TOE 더 크다.

반면 피부로 느끼는 휘발유 및 경유가격 상승으로 수송용 에너지 수요만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과소비가 부른 '업보'

이같은 에너지 과소비는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형태에 기인한다.

우선 대형 가전과 중형차를 선호하는 소비 형태로 인해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있다.

실제로 정부 자료에 따르면 1975년 에너지 소비와 국내총생산(GDP)을 100으로 놓으면 2006년 에너지 소비는 730, GDP는 760으로 엇비슷하지만 같은 기간 차량을 포함한 수송용 에너지 소비는 100에서 1580으로 무려 15.8배가 뛴 것으로 나타났다.

2000㏄ 이상 중대형 승용차 시장점유율도 1995년 10%에서 2000년 17.7%, 2002년 34.1%, 2004년 28.8%, 2006년 29.8%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주거면적 증가와 대형 가전 선호 등의 영향도 크다는 지적이다.

25인치 이상 컬러TV 시장점유율이 1995년 26.7%에서 2006년 65.7%로 높아지고 500ℓ 이상 냉장고가 1995년 14%에서 2006년 66.7%로 뛰는 등 가전제품 시장이 대형화됐다.

◆에너지 절약형 구조로 재편돼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소비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체 에너지 소비의 57%를 차지하느 산업 분야의 구조 개편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산업구조상 에너지 사용이 많은 석유나 철강, 시멘트 산업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우리 경제 전체에서 요구하는 에너지양이 많은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정부는 에너지요금에 대해 1990년 이후 휘발유 가격이 4배, 경유가 8배 올랐음에도 전기요금은 16년 동안 40%가량 올렸을 뿐이다. 그 결과 산업용 전기가 싸 산업부문의 에너지 낭비가 심해졌고 자원 배분 왜곡과 산업계 체질 약화를 불러왔다는 주장이다.

이서원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도 "정부와 기업이 에너지 절약형 기술개발과 설비 투자를 늘려 산업구조를 에너지 절약형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또한 해외 에너지원 확보에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을 펴다 보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대응이 늦어지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도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석유의 낮은 자주개발률로 인해 유가 급등에 휘청거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해외 자원개발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597,000
    • -0.08%
    • 이더리움
    • 5,100,000
    • +2.82%
    • 비트코인 캐시
    • 739,000
    • +3.5%
    • 리플
    • 2,620
    • +10.55%
    • 솔라나
    • 332,800
    • -0.78%
    • 에이다
    • 1,505
    • +3.79%
    • 이오스
    • 1,308
    • +2.03%
    • 트론
    • 287
    • +1.41%
    • 스텔라루멘
    • 743
    • +1.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450
    • +1.27%
    • 체인링크
    • 26,280
    • +5.33%
    • 샌드박스
    • 943
    • +5.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