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IMF는 오는 22~23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앞두고 이날 발표한 ‘정책 모니터링 보고서’에서 글로벌 경제성장이 바닥을 친 것으로 보이지만 코로나19 등 위험 요인이 전망을 지배하고 있다고 경종을 울렸다.
보고서는 “글로벌 경제활동이 지난해의 두드러진 감속을 거쳐 올해는 완만하게 강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통화와 재정 면에서의 정책이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하면서 심각한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IMF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지난해의 2.9%에서 3.3%로 오를 것이라는 1월 시점의 전망을 유지했다. 여전히 이는 지난해 10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치다. 그러면서 코로나19가 글로벌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강하게 경고했다.
보고서는 “경제전망 하강 위험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며 “코로나19가 더욱 확산하거나 새롭게 무역 갈등이 일어나면 그 어떤 회복세도 탈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전염병 유행은 생산 중단이나 감염 지역에서의 교통 제한 등을 통해 중국의 경제활동을 혼란시키고 있다”며 “중국 경제 단기전망은 코로나19 확산 억제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사태 당시처럼 경제 혼란 이후 성장이 가속화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이날 IMF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불확실성이 ‘뉴 노멀(New Normal)’이 되고 있다”며 “코로나19는 예측하지 못했던 이벤트가 가뜩이나 취약한 글로벌 경기회복을 어떻게 위협할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염병처럼 통제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우리 스스로 피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새롭게 창출해서는 안 된다”며 “G20 정책결정자들은 무역과 기후변화, 소득 불균형 등 다른 불확실성을 줄이려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협정은 올해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을 0.2% 줄일 수 있는 무역 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제거했다”며 “그러나 여전히 관세가 많이 남아있고 협정에는 무역과 투자를 왜곡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돼 있어 세계 경제에 막대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후변화 관련 재해 영향을 받은 국가들은 GDP가 평균 0.4%포인트 줄었다는 IMF의 새로운 추정치도 인용하면서 대책 마련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IMF 보고서는 한국 정부에 적극적 재정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재촉했다. 보고서는 한국과 호주, 독일 등 3개국이 재정 여력이 충분하다고 꼽았다. 특히 한국에 대해서는 “재정 여력이 있지만 실제 경제성장이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아울러 통화정책 방면에서도 추가 경기부양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