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이날 긴급 전화 회의를 갖고 코로나19 대응책을 협의했다. 올해 G7 의장국인 미국의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주도로 각국이 금융정책 조정에 들어간 것이다.
이미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하강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협력적인 금융 완화를 단행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증시가 공황에 빠지는 것을 막고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인 이례적인 조치를 펼쳐 시장의 불안을 진화(鎭火)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장기간의 저금리 기조로 장래 금리 인하 여지가 부족하고 경기 불안이 장기간 계속되면 금융정책 실탄이 부족해질 위험이 있다.
이날 회의에 앞서 주요국 중앙은행 수장들이 “경제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 할 준비가 됐다”는 긴급 성명을 잇따라 발표해 선진국들이 이달 일제히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에 힘을 보탰다. 파월 의장이 지난달 28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와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2일 각각 성명을 내놓았다.
세계무역기구(WT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금융기구들도 전날 G7 공조를 측면 지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금리 인하 등 각국의 공격적 대응을 주문했다. 특히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데이비드 맬패스 WB 총재는 공동 성명에서 “긴급자금 대출에 나설 준비가 됐다”며 “긴급 대출 이외에도 정책 조언과 기술 지원 등 활용 가능한 수단들을 최대한 많이 쓸 것”이라고 천명했다.
G7 공조 기대감에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던 뉴욕증시는 2일엔 단숨에 반등했다. 다우지수는 5.1% 폭등해 2008년 3월 이후 11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4% 중반대의 급등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트위터로 “파월과 연준은 늘 그렇듯 늦게 행동한다”며 “미국은 가장 낮은 금리를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이익을 얻게 된다”고 거듭 연준의 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코로나19가 재선 가도의 최대 걸림돌로 등장한 현 상황에 조바심을 느끼고 있는 모습이다.
선물시장은 이미 연준이 이달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100%로, ECB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은 80%에 이른다고 예측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금리를 낮출 확률도 60% 이상인 것으로 점쳐졌다.
가장 큰 문제는 금리 인하 여지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가장 높은 미국의 기준금리도 1%대 중반에 그치고 있다. 또 이번 사태는 전염병 유행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혼란과 여객 수요 침체에서 비롯된 것으로 금리 인하가 효과를 발휘하기도 어렵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