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위원장 “외국계 금융사 규제 걸림돌 많아…투명성 제고하겠다”

입력 2020-07-16 15:01 수정 2020-07-16 15: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1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기자의 질의에 응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1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기자의 질의에 응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16일 “외국계 금융회사와 전문가들은 홍콩, 싱가포르에 비해 높은 법인세 및 소득세, 경직적 노동시장, 불투명한 금융규제 등이 여전히 걸림돌”이라며 “열린 마음으로 의견을 청취해 금융규제 감독상 투명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제43차 금융중심지 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앞서 지난 5월 17일 제5차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안을 수립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의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금융중심지 추진전략을 재점검하는 차원에서 열렸다.

다만 은 위원장은 “거시경제 운용 측면에서 금융허브만을 위한 세제와 고용제도 등의 개편은 한계가 있는데 이는 도시국가가 아닌 일본도 가지고 있는 비슷한 고민”이라며 “그간의 접근방식을 뛰어넘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한계를 극복하는 창의적인 방안을 모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2003년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략’을 수립한 이후 금융중심지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으나 아직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글로벌 금융회사가 해외지점 수를 줄여나가고 있어 외국계 금융회사의 국내 유치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금융중심지의 국제평가도 결코 높지 않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면서도 “국민연금, KIC 등 연기금을 필두로 자산운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해외투자의 지속적 증가는 자산운용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은 위원장은 “최근 세계적으로 브랜드K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의 긍정적인 국가이미지가 확산되고, 급성장을 거듭하는 신남방‧신북방의 인프라 개발금융 수요는 새로운 금융산업 확장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국내 금융산업의 강점을 토대로 현실에 부합하는 금융허브 전략을 재정립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중심지 전략은 단기적인 시각이 아니라, 장기적인 시각에서 긴 호흡을 갖고 흔들림 없이 추진될 때 지금보다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00,000
    • -0.19%
    • 이더리움
    • 5,093,000
    • +2.79%
    • 비트코인 캐시
    • 727,500
    • +2.83%
    • 리플
    • 2,609
    • +12.85%
    • 솔라나
    • 336,000
    • +0.39%
    • 에이다
    • 1,510
    • +1%
    • 이오스
    • 1,320
    • +15.18%
    • 트론
    • 284
    • +0.71%
    • 스텔라루멘
    • 741
    • -1.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350
    • +2.53%
    • 체인링크
    • 25,530
    • +2.24%
    • 샌드박스
    • 894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