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의 오토 인사이드] 상반기 車시장…20대 구매력 급증, 사장님은 지갑 닫아

입력 2020-08-10 16:00 수정 2020-08-10 21: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로나19 쇼크 속 20대 신차구매 증가…법인ㆍ사업자 신규등록 10년 만에 후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상반기 자동차 시장이 여느 때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내수 자동차 소비가 증가했고, 고가의 수입차도 많이 팔렸다. 국산 전기차 판매가 줄어든 가운데 수입 전기차 판매는 폭증했다. 국고 보조금의 약 절반도 이들이 차지했다.

무엇보다 구매력이 낮아 상대적으로 자동차 시장에서 소외됐던 20대의 신차 구입이 늘었다. 거꾸로 10년 연속 상승했던 법인과 사업자의 신차 등록은 감소세로 전환했다.

젊은 층의 신차 구매가 늘어난 반면, 경기 위축에 직격탄을 맞은 사장님들은 오히려 지갑을 닫은 셈이다.

▲자료: 국토부 / 단위: 대 / 기준: 1~6월
▲자료: 국토부 / 단위: 대 / 기준: 1~6월

◇상반기 신차 등록 전년 대비 6.6% 증가=국토교통부와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내수 자동차 신규등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 늘어난 94만8000여 대에 달했다.

코로나19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정부 수요 부양책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다양한 신차 출시도 잠재고객들의 구매욕을 자극했다.

이 같은 영향으로 대한민국은 글로벌 주요 자동차 시장 가운데 유일하게 상반기 자동차 내수판매가 증가한 시장이 됐다.

국산차는 SUV 신차와 중형과 대형세단을 중심으로 선전했다. 상반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80만6000대 수준에 달했다.

수입차 증가세는 더 거셌다. 전년 대비 15.8%나 증가한 수입차는 독일차의 전반적 호조와 테슬라 등 미국 전기차 국내 판매가 상승한 효과를 누렸다.

상반기에만 총 14만1000여 대에 달해 내수 점유율도 13.8%에서 1.2%포인트(P) 상승한 15.0%를 기록했다.

▲소형 SUV의 잇따른 출시가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친 소비 추이를 바꿔놨다. 젊은층의 구매가 증가했고, 상대적으로 연비와 출력에 대한 저항심리가 낮아 휘발유 증가세까지 부추겼다. 사진은 기아차아 인도를 시작으로 첫 선을 보인 소형SUV 쏘넷.  (사진제공=기아차)
▲소형 SUV의 잇따른 출시가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친 소비 추이를 바꿔놨다. 젊은층의 구매가 증가했고, 상대적으로 연비와 출력에 대한 저항심리가 낮아 휘발유 증가세까지 부추겼다. 사진은 기아차아 인도를 시작으로 첫 선을 보인 소형SUV 쏘넷. (사진제공=기아차)

◇경유차 위축되자 휘발유와 전기차 약진=늘어난 차 판매는 휘발유차에 집중됐다.

연료별 판매는 휘발유차와 전기차 확대가 지속한 반면,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에서 시작한 압박이 경유차 판매 하락의 배경이 됐다.

연료별 비중을 보면 승용차 기준으로 휘발유가 61.3%, 경유는 20.6%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수소전기차, 천연가스 등이다.

경유차는 최근 규제강화 추세에서도 SUV에서는 우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작년부터 소형 SUV 강세가 이어지면서 점유율은 하락했다.

특히 소형 SUV의 경우 ‘SUV=경유’라는 등식을 단번에 깨고 다양한 휘발유 모델이 약진했다.

상대적으로 배기량이 적고 무게가 덜 나가는 만큼, "휘발유 SUV를 탄다"는 저항심리가 크지 않았다는 게 자동차 업계의 분석이다. 소형 SUV를 중심으로 직렬 4기통 1.3~1.6 가솔린 터보가 잘 팔렸다.

전기차는 국산이 42.6% 감소한 7800여 대에 머물렀던 반면, 테슬라의 약진으로 수입 전기차는 전년 대비 150% 증가한 8900여 대에 달했다.

전체 전기차 보조금의 절반 수준을 테슬라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 팰리세이드에서 시작한 대형 SUV 인기는 제네시스 GV80으로 이어졌다. 소형 SUV가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고, 중형 SUV 수요는 대형 SUV급으로 이동했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차 팰리세이드에서 시작한 대형 SUV 인기는 제네시스 GV80으로 이어졌다. 소형 SUV가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고, 중형 SUV 수요는 대형 SUV급으로 이동했다. (사진제공=현대차)

◇세단 감소세 속에 SUV가 내수 견인=승용차는 세단과 SUV 모두 증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 증가했다.

중형급 이하 세단의 점유율은 현재 10년 가까이 축소 중이다. 다만 대형차는 상승세를 유지해 세단 전체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증가했다.

세단의 상승세는 현대차 그랜저IG 부분변경을 시작으로 올해 제네시스 3세대 G80 등장이 견인했다.

다만 세단이 차지하는 전체 비중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세단 증가세(6.2%)보다 전체 신차 증가세(6.6%)가 더 컸기 때문이다.

2010년 승용차 가운데 82.3% 수준이던 세단은 2015년 이 비율이 67.5%까지 하락했다.

이어 2017년에는 66.1%를 간신히 유지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53.5%까지 하락했다. 조만간 세단 판매보다 SUV 판매가 더 많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반대로 SUV는 다양한 신차 중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2%나 늘었다. 특히 중형 이하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잇달아 출시된 국산 소형 SUV 신차효과를 누렸다.

대형 SUV도 약진했다. 올해 최초 출시된 국산 고급 대형 SUV(제네시스 GV80) 호조로 대형 SUV 판매는 전년 대비 20% 가까이 증가했다.

◇젊은층 소형 휘발유 SUV에 열광하다= 구매 주체와 인기 차종의 변화도 눈길을 끈다.

코로나19가 자가용 보유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내수가 호조세를 보였다.

이처럼 모든 연령대의 신차구매는 증가했지만, 10년 넘게 증가세를 유지해온 법인·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했다.

지난달 삼성화재가 조사해 발표한 ‘2020.3월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량’ 결과를 보면 지난해 12월 대비 올 초 대중교통의 이용량은 64% 수준으로 감소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줄어들면서 자가용 구매심리가 커진 것이다.

▲자료: 국토부 / 단위: 대 (자료=국토부)
▲자료: 국토부 / 단위: 대 (자료=국토부)

법인차 비중은 감소했다. 그동안 인구의 점진적 감소와 자동차 이용방식의 다양화 등으로 차량소유 개념이 약화한 이후 법인차 구매는 급증했다.

2010년 19.1% 수준이었던 법인·사업자 구매 비중은 2015년 23.3%로, 그리고 2019년 상반기에는 28.3%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올 상반기에는 경기 위축 여파로 이 비중이 26.3%로 내려왔다.

해외수요 본격 회복 전까지는 내수부양책을 유지하고 도입 취지가 살아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는 한편, 수요폭증기를 대비한 생산 차질 만회를 위해 관련 제도의 개선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정부의 친환경차 구매지원 제도는 일부 고가수입차 위주로 정책효과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하반기에는 법인차 중심으로 내수 소비가 확산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신라면·빼빼로·불닭까지...뉴욕은 지금 K푸드 앓이중[가보니(영상)]
  • 수험생 정시 입결 활용 시 “3개년 경쟁률·충원율 살펴보세요”
  • 트럼프, 2기 재무장관에 헤지펀드 CEO 베센트 지명
  • 송승헌ㆍ박지현, 밀실서 이뤄지는 파격 만남…영화 '히든페이스' [시네마천국]
  • 강원도의 맛과 멋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단단단 페스티벌' 外[주말N축제]
  • 野, 오늘 4차 주말집회…‘파란 옷, 깃발 금지' 먹힐까
  • '위해제품 속출' 해외직구…소비자 주의사항은?
  • “한국서 느끼는 유럽 정취” 롯데 초대형 크리스마스마켓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527,000
    • -2%
    • 이더리움
    • 4,722,000
    • +3.1%
    • 비트코인 캐시
    • 697,000
    • +2.35%
    • 리플
    • 2,008
    • -0.54%
    • 솔라나
    • 354,200
    • -0.08%
    • 에이다
    • 1,449
    • +5.15%
    • 이오스
    • 1,056
    • +3.33%
    • 트론
    • 293
    • +4.27%
    • 스텔라루멘
    • 664
    • +42.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300
    • +2.69%
    • 체인링크
    • 23,920
    • +12.41%
    • 샌드박스
    • 588
    • +18.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