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CSO,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 국가표준(KS) 등재

입력 2020-12-13 11:00 수정 2020-12-13 13: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동차, 디지털 사이니지 등 다양한 시장으로 빠르게 확장될 것으로 전망

▲ LG디스플레이 직원이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인 CSO 패널 앞에서화면에서 직접 나오는 소리를 듣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 LG디스플레이 직원이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인 CSO 패널 앞에서화면에서 직접 나오는 소리를 듣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스피커 없이 OLED 디스플레이 자체가 진동해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인 ‘CSO(Cinematic Sound OLED)’가 국가기술표준원이 제정하는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 국가표준(KS)에 등재됐다고 14일 밝혔다.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가 진동판 역할을 해 소리를 내도록 한 신개념의 기술이다. 스스로 빛을 내는 얇은 단층 구조를 가진 OLED 디스플레이만이 구현할 수 있으며, LG디스플레이가 2016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

디스플레이에서 직접 소리를 내기 때문에 화면 속 등장인물들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느껴져 기존 일반 스피커가 가지지 못한 ‘높은 몰입감’과 ‘생생한 현장감’ 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기존 표준은 일반 스피커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의 차별화된 장점을 객관적으로 평가 및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기업 간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져 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로부터 공인된 표준을 만들고 선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LG디스플레이는 ‘CSO’의 차별화된 장점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평가법과 공인될 수 있는 표준 제정을 위해 2018년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표준화를 추진했다. 그 결과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CSO’를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 국가표준으로 등재할 수 있었다.

이번 국가표준 등재에 따라 ‘CSO’는 OLED TV에 이어 자동차, 디지털 사이니지 등 다양한 시장으로도 빠르게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CSO’를 ‘유망 신산업 분야 국제표준 개발과제’로도 선정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 및 시장 선점을 위한 ‘IEC 국제표준’ 등재도 추진키로 했다.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는 전기 기술에 관한 표준의 국제적 통일과 조정을 목적으로 1906년에 설립된 ‘국제전기표준회의’이다.

LG디스플레이 CTO 윤수영 전무는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표준전쟁 시대에 무한한 확장성 및 시장성을 가진 ‘소리 내는 디스플레이’의 표준등재로 CSO의 기술력이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차세대 OLED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5: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519,000
    • -1.5%
    • 이더리움
    • 4,749,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2.15%
    • 리플
    • 658
    • -1.35%
    • 솔라나
    • 191,300
    • -1.03%
    • 에이다
    • 535
    • -2.37%
    • 이오스
    • 800
    • -1.36%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25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800
    • -2.68%
    • 체인링크
    • 19,250
    • -3.8%
    • 샌드박스
    • 465
    • -1.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