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가 안정적인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세제 감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3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2050 탄소 중립 정책의 현실적 대안인 하이브리드에 대한 세제 혜택을 지속ㆍ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이브리드에 대한 정부지원은 지난 2017년 총 383만 원에서 단계적으로 줄었다. 매년 50만 원씩 감소해 올해는 지원이 183만 원에 머물렀다.
이처럼 정부가 구매 보조금을 축소하는 중에도 하이브리드에 대한 인기는 상승 중이다.
특히 RV는 지난해 디젤 비율이 41.2%로 전년(50.1%) 대비 8.9% 포인트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의 비율은 3.9%에서 8.1%로 4.2% 포인트 증가했다.
결국, 하이브리드에 대한 시장의 구매력이 지속 상승 중인 가운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감소하면 구매력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이와 관련해 KAMA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정부가 추진 중인 탄소 중립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자동차 생산부터 운행, 폐차까지 생애 전주기를 따졌을 때 하이브리드는 27.5t 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반면, 전기차(80kWh급)는 배터리 제조 및 재활용 방법에 따라 최대 28.2 t CO2-eq의 배출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가솔린 하이브리드가 더 친환경적이라는 의미다.
CO2-eq란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에 ‘지구온난화지수(GWP)’를 대입한 수치다.
물론 에너지 발전 원료의 다양화에 따라 전기차의 친환경성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만 2030년까지 원료 다양화에 한계가 존재하는 만큼, 이 과도기에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활성화가 절실하다”라는 게 협회의 분석이다.
실효 용량을 기준으로 2020년 발전 원료는 △원전 21% △석탄 31.9% △LNG 37.4% △신재생 3.3% △기타 6.4% 수준이다.
2030년에 되더라도 이 비율은 각각 △원전 16.7% △석탄 26.1% △LNG 45.3% △신재생 6.9% △기타 5.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하이브리드차가 중단기적으론 전기차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탄소 중립 목표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게 협회의 분석이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국내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이 하이브리드 자동차 확대를 통한 현금창출로 전기차에 대한 재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라며 “전기차 시장의 국산차 비중은 65%지만 세제 혜택을 받는 하이브리드 가운데 국산차 비중이 87%에 달해 자동차산업을 육성하는 차원에서도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