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왜 미국으로 갔을까? 기업으로선 가장 높은 가격으로 상장하고 싶은데, 자꾸 정부가 제동을 건다면 국내 증시에 상장할 유인이 낮아지게 된다. 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거고, 그에 따른 책임도 결국 투자자가 지는 거다. 유권자 눈치 보는 정부 때문에 금융당국이 비합리적인 개입에 나서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금융감독원의 연이은 기업공개 공모가 산정 개입에 강하게 불만을 나타냈다. 금융당국이 기업가치 산출에 직접 개입하자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선 이를 공모가 인하 압력 신호로 강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이번 기업가치 산정 개입을 유권자 표심을 얻기 위한 정치적 의도로도 해석했다. 상장 후 공모가가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개인투자자들이 이를 정부 책임으로 돌리며 강하게 비난할 수 있어서다. 표심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정부가 비난 여론을 피하고자 과도한 시장 개입에 나섰다고 꼬집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기업, 주가 얘기가 올라온다. 정부가 개인투자자 여론을 의식해 시장경제 원칙에 어긋난 개입을 하고 있다. 이는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공모주 가격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건 주식을 ‘싸게 팔라’고 강요받는 기업인데, 생색은 정부가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터질 게 터졌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간 공모주 시장은 거품이 과도하게 낀 상태였고, 적정선에서 정부 개입이 필요했다는 배경에서다.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최근 공모주 시장은 ‘폭탄 돌리기’와 같았다. 고평가된 기업을 모두 상장시킬 순 없다. 그걸 견제하는 게 금감원의 역할 아닌가. 최근 시장이 많이 올랐고, 그나마 덜 오른 걸 찾다 보니 공모주가 투자처로 떠올랐다.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 기관투자자 역시 비싸도 안 살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모주는 무조건 팔린다는 인식이 퍼졌다. 시장이 최고점을 찍는 상태에서 금감원이 개입하지 않으면, 분명 개인투자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적정선의 개입이 없다면, 차후 어떤 금융사고로 발전할지 알 수 없다. 해외 증시 상장은 상장 조건이 맞는 기업의 선택일 뿐, 이 같은 정정요구로 인해 해외에서 상장한다는 건 변명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