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넘게 끊어졌던 남북통신연락선이 복원되면서 그동안 냉랭한 태도를 보였던 북한이 전격적으로 대화채널 복구에 응한 배경에 관심에 모아지고 있다.
청와대는 공식적으로 "양측이 협의한 결과"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측의 끈질긴 대화 재개 요청이 있었고, 북한이 침묵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통신연락선 복구는 남측의 설득에 북측이 응하는 형식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일방적으로 지난해 6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고 통신연락선을 단절한 이후로도 끊임없이 통신연락선 복원을 요구했다. 그러나 북한은 13개월 간 호응하지 않았고, 이날을 기점으로 극적으로 통신연락선이 다시 가동됐다.
북한이 태도를 바꾼 이유로는 '내부사정'이 꼽힌다. 날로 심각해지는 식량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이 겹치면서 흉흉해진 민심을 추스릴 돌파구가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대북제제와 코로나 방역 등으로 중국 등에서 외부 물자를 들여오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아직 지난해 발생한 수해 피해 조차 제대로 복구되지 않은 상황에서 폭염이 덮쳐 식량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기에 바이든 정부 출범 후 미국과의 '딜'이나 무력 도발 등 과거의 방식을 시도하기가 쉽지 않아졌다는 점도 결국 남측으로 눈을 돌리게 된 배경으로 거론된다.
청와대는 "지난 4월부터 남북 정상이 친서를 교환하며 관계 회복 문제로 소통해왔다"면서 "양 정상은 남북관계가 오랜 기간 단절되어 있는 데 대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조속한 관계 복원과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친서의 내용에 대해서는 "코로나와 폭우 상황에 대해 조기 극복과 위로의 내용 등이 있었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대화들"이라며 "현재 코로나로 인해 남북 모두가 오래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속히 이를 극복해 나가자고 서로 간에 위로와 걱정을 나누었다"고 설명했다. 공개된 내용만 놓고보면 의례적인 인사 수준의 대화들이지만 코로나와 수해 등을 극복하기 위해 양측이 협력하자는데 뜻을 같이 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를 위해서 남북간 대화채널 복구가 우선이라는 공감대가 자연스럽게 형성됐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과 외교가 등에서는 북한이 이번 통신연락선 복구를 북미대화 재개로 연결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남북 대화를 재개함으로써 미국과의 소통도 가능하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는 풀이다. 실제로 북한은 이미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조건 없는 대화'를 제의 받은 상태다.
통일부는 이런 관측들과 관련해 "(남북 간) 협의를 거쳐 합의가 이뤄진 시점에 (통신선 복원을) 발표란 것"이라며 "이 날짜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거나 (정전협정) '한국전쟁(6·25전쟁) 정전협정 체결일'(7월27일)을 계기로 (통신선 복원을) 결정했다고 하긴 어렵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