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직방에 따르면 2022년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값을 어떻게 예상하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1236명) 중 43.4%(537명)가 ‘하락’할 것으로 응답했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38.8%(479명)로 ‘하락’과 ‘상승’의 의견 차이가 5% 이내로 팽팽했다.
이런 결과는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40대 이상은 ‘하락’ 전망 비율이 더 높았던 반면, 30대 이하는 주택 매매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방, 지방 5대 광역시에서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서울은 47.6%가 ‘하락’, 33.8%가 ‘상승’, 18.6%가 ‘보합’일 것으로 전망했다. 지방은 ‘하락’이 45.8%, ‘상승’이 37.3%, ‘보합’ 16.9%로 응답했다. 반면 경기는 ‘상승’이 42.8%로 ‘하락’(41.5%)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도 ‘상승’ 응답이 43.0%로 ‘하락’(38.3%)을 전망하는 응답보다 더 높았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유주택자가 2022년 주택 매매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비율이 높았던 반면, 무주택자는 ‘하락’ 전망 의견이 더 많았다.
주택 매매값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 이유는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3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24.2%)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18.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지속(6.5%) △대선, 지방선거 공약(6.1%)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차주단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3단계가 본격 시행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을 연이어 진행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도 예고된다.
반면, 주택 매매값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는 상승 응답자 479명 중, 22.5%가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8.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14.2%) △대선, 지방선거 공약(11.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매매값이 오를 것으로 보는 이유로 30~40대는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각각 23.1%, 27.9%로 선택했지만, 20대 이하는 ‘대선, 지방선거 공약’(21.7%)을 가장 큰 이유로 선택했다. 50대는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22.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지역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서울, 경기, 지방은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선택한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인천은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와 ‘대선, 지방선거 공약’을 많이 선택했다. 지방 5대 광역시는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주택 전셋값은 전체 응답자 중 46.0%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30.6%는 ‘하락’, 23.4%는 ‘보합’을 선택했다. 전 연령대에서 모두 상승 전망 비율이 높았고, 특히 30~40대에서 상승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전셋값 상승 이유로는 ‘전세공급(매물) 부족’(37.3%)이 가장 많았고, △매매값 상승 부담으로 인한 전세 전환 수요 증가(22.0%)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매물이 출시되면서 임대료가 인상될 우려(17.9%) 등 순으로 응답했다. 상승 전망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전세매물 부족과 매매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전세 수요 증가로 2022년에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택 월세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1.4%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하락’ 응답은 18.9%, ‘보합’은 29.7%로 나타났다. 나이별로는 20대 이하에서 월세가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64.3%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승 전망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월세가 오를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 636명 중,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35.7%가 ‘매매, 전세 상승 부담으로 월세 전환 수요 증가’해서라고 응답했다. 그다음으로는 △전세 대출규제로 인한 월세 전환 수요 증가(23.1%) △보유세, 종부세 부담으로 인한 세 부담 전가(16.5%) △월세 공급(매물) 부족(1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