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20일 '최근 글로벌 경기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만약 국제유가가 배럴당 연평균 100달러에 달하게 되면 경제성장률은 0.3%포인트(p) 둔화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p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수지는 300억 달러 이상 악화될 것으로 추정했다.
산업별로도 정유 부문은 23.5%, 반도체는 약 0.3% 정도의 원가상승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 가능성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주요국 금융시장 혼란이 가중되는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만약 이런 우려가 현실화된다면 글로벌 금융시장뿐 아니라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르는 상품가격 불안정성 확대 및 인플레 압력 고조, 실물 경기 침체 등과 같은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 동반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주요국 경기가 회복세를 보인다면서도 △러시아-우크라이나발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전환 △중국 경제 둔화 등과 같은 리스크 요인이 상존해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대외 리스크의 국내 전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사전적인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경기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거시경제 전반의 안정화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와 방역을 모두 고려하는 엔데믹 전환이라 하더라도 선제적인 로드맵 제시와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유연한 정책 집행 체제 구축 등의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기업들도 원자재 가격이나 글로벌 공급망에 관한 이슈들이 경영 환경에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전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는 이런 기업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