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물가 악재가 쌓이면서 다음 달 1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사상 첫 빅스텝(한번에 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달보다 0.6%포인트 올라 역대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2월 2.0%를 기록한 후 15개월 연속 2%대를 유지해 왔다. 그러다 지난 4월 3.1%로 3%를 넘겼고, 5월 3.3%에 이어 6월 3.9%를 찍으며 고공행진하고 있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유가, 국제 식량 가격 상승 등 해외 요인에다 외식비를 비롯한 개인 서비스 요금 등 생활밀접 체감 물가가 높은 점이 기대인플레이션을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임금, 가격, 투자 결정 등에 반영되면서 실제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개인은 임금 상승을 요구하고, 기업들은 임금 인상 부담으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올리면서 다시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인플레이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21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국내외 물가 상승압력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적절히 제어하지 않으면 고물가 상황이 고착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얼어붙었다. 96.4로 전월 대비 6.2포인트 하락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의 성장 둔화, 주요국 금리 인상, 물가 상승세 지속 등의 영향을 받았다. 5월과 비교해 현재생활형편(-2포인트), 생활형편전망(-5포인트), 가계수입전망(-1포인트), 소비지출전망(-2포인트), 향후경기전망(-3포인트) 등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모두 하락했다.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교역조건 역시 악화하고 있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5월 무역지수 및 교역 조건’에 따르면 올해 5월 수입금액지수는 176.50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 2020년 12월(2.9%) 이후 18개월 연속 상승이며, 오름폭(32%)도 4월(19.4%)보다 높았다.
품목별로는 광산품 수입금액지수 상승률이 75.7%에 이르렀고, 공산품 중 제1차 금속제품(42.1%)과 석탄 및 석유제품(40.6%), 화학제품(37.1%) 등도 크게 올랐다.
전반적으로 수출 가격(11.1%)보다 수입 가격(24.3%)이 더 크게 오르면서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85.33으로 1년 전보다 10.6% 떨어졌다. 14개월 연속 내림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