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고금리·고물가 소상공인 어려워...금융지원 아끼지 않겠다"

입력 2022-07-26 10: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전북(전주) 지역 현장 방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8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금감원장-저축은행 대표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gusdnr8863@ (이투데이DB)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8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금감원장-저축은행 대표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gusdnr8863@ (이투데이DB)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중소상공인 금융지원 협조 및 불법금융 피해예방 홍보를 위해 지방현장을 찾았다.

이 원장은 26일 전북은행 본점에서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과의 간담회를 열고 애로를 청취하고, 지역 금융회사의 중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협조를 당부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에서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인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어려움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금융부문 민생지원방안‘ 등 정부 대책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권 자체 프리워크아웃 제도인 ’개인사업자대출119’ 등 금융권의 기존 지원 제도 활성화를 통해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강화에 힘쓰고 있다"면서 "전북은행에서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제공하고 있는 ‘부채관리서비스’, ‘경영컨설팅’ 등 우수 지원 프로그램을 더욱 발전시켜 달라"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또 "최근 금융권이 취약 차주 등을 위한 신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금감원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 이후 전주 신중앙시장을 방문해 불법금융 피해예방 캠페인을 실시하고, 시장 상인들의 애로사항 등을 청취했다.

이 원장은 보이스피싱·불법사금융 피해예방 리플릿 등을 상인과 주민들에게 직접 배포했다. 그는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대상 대면편취형 피싱 및 불법채권추심·고금리 등 불법사금융 피해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시장 인근에서 금융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금융사랑방 버스’를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유관기관 및 금융권과 긴밀히 협력하고, 현장에 직접 찾아가는 불법금융 피해예방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큰손’ 국민연금 美주식 바구니 'M7' 팔고 '팔란티어' 담았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법인 가상자산 진출 '코인마켓'에 기회 …은행 진출 '마중물'
  • 故 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작품 속 딸로 만나 행복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13: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873,000
    • -1.4%
    • 이더리움
    • 4,013,000
    • -1.35%
    • 비트코인 캐시
    • 491,000
    • -2.29%
    • 리플
    • 4,066
    • -3.12%
    • 솔라나
    • 278,000
    • -5.09%
    • 에이다
    • 1,201
    • +2.04%
    • 이오스
    • 951
    • -1.04%
    • 트론
    • 365
    • +2.82%
    • 스텔라루멘
    • 515
    • -2.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00
    • +0.84%
    • 체인링크
    • 28,060
    • -1.3%
    • 샌드박스
    • 588
    • -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