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찬도 중요한 외교 행사다. 공식 만찬 외교는 대통령과 국민의 품격을 나타낸다. 참석자 선정, 메뉴선택, 대화 주제, 연예인 공연, 테이블 매너등 어느 하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되며 철저한 준비와 연습도 필요하다. 미국 정치 드라마 ‘House of Cards’(하우스 오브 카드)를 보면 인권을 학대하는 소련 대통령을 국빈 만찬장에서 교묘하게 조롱하는 장면이 나온다. 초청 가수가 건배주를 바닥에 버리고 퇴장 하거나 옆자리에 싫어하는 인사를 배치해 은근히 ‘엿’을 먹이기도 한다. 물론 드라마이기는 하나 외교현장에서 가끔씩 일어난다. 정상회담에서 식탁 의전은 상대방 국가와 국민에 대한 배려이기도 하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중국방문에서 수모에 가까운 ‘혼밥 8끼’ 식사를 했다. 명백히 ‘의전 홀대’로 볼 수 있는 어처구니없는 일이었고 두고두고 머릿속에 남는다.
필자는 과거 미국 워싱턴 D.C. 소재 한국 대사관에서 농무관으로 근무하면서 대통령 행사를 여러 번 치렀다. 열심히 준비했으나 중요한 방미 행사가 워싱턴D.C. 현지 신문에 단 한 줄도 안 나오는 경우도 있었고, 대통령 수행단의 과오로 방미 성과를 희석시킨 경우도 있었다. 식사를 하면서 나누는 대화는 긴장을 풀어주고 양국 간 갈등도 해소해준다. 미국산 광우병 쇠고기 파동으로 한미 간 긴장이 고조될 때 필자는 미국 농무장관 부부와 농무부 간부들을 한국 대사관에 초청해 만찬을 가졌다. 이태식 주미 대사와 조한스 미 농무장관의 화기애애한 식탁 대화는 쇠고기로 인해 고조된 양국 간 갈등을 상당 수준 완화했다.
쌀을 두고 한미 간에는 역사적으로 많은 일이 있었다. 6·25 전쟁과 식량 원조, 보릿고개 극복, 쌀 연구개발에도 미국 도움이 컸다. 세계무역기구(WTO)협상, 한미 간 쌀 협상, 한미 FTA 등 양자나 다자간 통상 협상에서 쌀이 주요한 협상 이슈가 됐다. 국제협력과장과 통상협력과장, 주미대사관 농무관으로 필자는 미국 대표들과 수차례 쌀 협상을 했고 우여곡절도 많았다. WTO 협정에 의거해 5만1000톤에서 시작한 쌀 최소 시장 접근 물량(MMA)은 두 차례의 관세화 유예로 급격히 늘어 2014년에는 40만8000톤으로 국내 생산량의 10%에 이르렀다. 더 이상 쌀 수입 증대는 막아야 한다는 판단과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결단으로 2015년 쌀을 관세화해 더 이상 쌀 수입물량은 증대되지 않았다. 40만8000톤의 쌀 수입물량 중 약 32%(13만 톤)가 미국 산이다.
한미 간 정상회담이 있을 때마다 ‘쌀밥’을 먹는 행사를 기대했으나 한 번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양국 정상이 쌀밥을 먹으면서 대화하는 모습을 상상하고, 이 장면을 찍은 사진을 보고 싶은 이유이다. 조만간 실천되기를 기대한다. 정 안 되면 윤 대통령의 지난 일본 방문 시와 같이 공식 행사 후 양국 정상 간에 화합의 성격을 담은 ‘쌀 폭탄주’ 비슷한 이벤트도 좋다. 최근에도 생산이 과잉된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을 두고 많은 논쟁이 있었다. 야당의 일방적 단독처리,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국회 재심의 부결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테이블 매너도 중요하다. 각종 정상회담에서 소탈하고 다채로운 색상의 ‘재킷 패션’ 복장을 좋아하는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도 백악관 공식 방문 시에 검은 정장 차림 복장으로 입장했다. 며칠 전 지인으로부터 과거 한국 대통령의 미국 방문 시 테이블 매너에 어긋나는 장면을 담은 몇 장의 사진을 받았다. 허리를 꾸부정하게 굽힌 채 상대방 잔을 쳐다보며 건배하는 장면이 거슬렸다. 식탁에 앉은 우리 대표단은 머리를 숙이고 음식 먹기에 열중하는 사진도 있었다. 대화에 치중하지 않고 먹는 데만 열중하는 모습은 오로지 ‘먹기 위해 산다’는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 식사 시에는 가능한 말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그릇된 식사 매너다. “대화에 치중하지 않고 음식에 집중하면 짐승 취급받는다”는 소리도 있다.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한류열풍이 세계를 휩쓴다. 대통령보다 더 많은 관중이 모이고 인기가 높은 것이 한류 스타다. 한류 스타와 한류 열풍을 ‘K-푸드’ 열풍으로 변화시키자. 쌀밥이나 김밥을 먹거나 쌀 떡, 쌀 과자, 쌀 음료, 쌀 술 등 다양한 쌀 가공 제품을 활용한 ‘K-푸드’ 행사가 대통령 해외 순방 시 필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