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입력 2024-06-21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어지럼증 환자 100만명 시대, 환자 30~40%가 이석증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어지럼증의 이유는 다양하다. 일상생활 중 순간 핑 도는 느낌이나 몸이 기울어지는 증상인 경우가 많다.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어지럼증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귀의 이상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전문가들은 어지럼증 원인이 귀의 문제인지 뇌신경계 질환 때문인지 파악해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국내 어지럼증 환자는 최근 5년간 꾸준히 늘고 있고, 지난해 100만 명을 넘겼다.

2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어지럼증 및 어지럼’(질병코드: R42) 국내 진료인원(입원·외래)은 101만5119명을 기록했다.

5년 전인 2019년 94만9519명이었던 어지럼증 환자 수는 2020년 85만5608명으로 감소했으나, 2021년 954만1526명, 2022년 97만9640명으로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 기준 어지럼증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서며, 10년 전인 2014년 73만6635명보다 약 38% 증가했다.

어지럼증은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등을 겪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원인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조소영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신경과 전문의는 “어지럼증은 외래와 응급실에서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로 원인이 다양해 단일 진료과에서 진료하기 어렵다”며 “흔히 귀의 전정기관 이상으로 발생하는 ‘이석증’으로 어지럼증이 발생한다고 하지만, 뇌신경계나 심장질환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반복되는 어지러움 ‘이석증’, 재발 위험 높아 예방·관리 중요

이석증은 머리 움직임에 따라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심한 어지럼증이 수초에서 1분 정도 지속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상태가 반복되는 증상이다. 어지럼증 환자의 30~40%가 이석증 진단을 받는다. 전정기관 중 하나인 이석기관의 이석이 제자리를 이탈해 반고리관에 들어가 평형감각을 자극,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이석증으로 발생하는 어지러움은 개인에 따라 증상 정도가 다양하다. 보통 아무런 전조증상 없이 갑자기 어지러움을 느끼는데, 주로 아침에 일어날 때, 자다가 머리 방향을 바꿔 누울 때,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머리를 숙이거나 고개를 들 때 등 머리 움직임과 연관이 높다. 또 속이 메스껍고 구토 증상이 생기거나 가슴 두근거림과 식은땀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석증은 교통사고나 머리를 부딪치는 등 외부 충돌 때문에 평형기관 감각세포나 신경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불규칙한 식사, 불면증, 피로, 스트레스, 체력 저하도 원인이 된다. 치료는 고개 위치를 바꿔가며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을 전정기관으로 이동시키는 이석치환술이 보편적인 치료법이다.

대부분 2주 이내로 증상이 회복되지만, 재발이 잦기 때문에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조소영 전문의는 “평소 면역력을 높이는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머리를 급격히 회전하는 동작은 가급적 줄이는 것이 좋다”며 “가만히 누워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이석증 발병 확률이 높아지므로 한 자세로 너무 오래 누워있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스트레스는 이석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에 명상 등을 통해 심신을 안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D 결핍이 이석증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만큼 평소 햇볕을 충분히 쫴 비타민D 생성을 돕는 것도 좋다.

뇌신경계 질환 이상 가능성도 확인해야

어지럼증은 이석증이 아닌 뇌신경계 질환의 이상 신호일 수 있다. 중추성 어지럼증은 뇌에 발생한 병적 변화 때문에 어지럼증을 느끼고 관련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특징을 보인다. 주로 두통, 만성피로, 평형장애,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 오심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뇌졸중으로 급성 중추성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어지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이는 뇌혈관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이상이 있거나 뇌혈관이 파열됐을 가능성이 있다.

뇌종양도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원인인데, 종양이 뇌 일부를 누르거나 뇌내에 자리를 차지하면서 압력이 상승해 두통과 함께 어지럼증이 발생한다. 뇌종양이 있다면 어지럼증과 함께 구토 증상이 동반되며 새벽 시간에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종양 위치에 따라 신경마비, 언어장애, 시각장애,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도 만성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어지럼증의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조소영 전문의는 “안구 운동 검사, 전정 신경 검사, 뇌혈류검사, 자율신경계 검사, 동적 평형 검사, MRI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진단된 질환에 따라 치료법은 다양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소영 전문의는 “어지럼증을 제대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신경과, 내과, 이비인후과 등 여러 과 협진으로 종합적인 원인을 파악해 어지럼증이 뇌 관련 신경계 질환 때문이라면 안 좋은 예후로 이어질 수 있어, 원인 질환을 조속히 진단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55,000
    • -0.36%
    • 이더리움
    • 4,824,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1.03%
    • 리플
    • 663
    • -0.9%
    • 솔라나
    • 196,200
    • +1.4%
    • 에이다
    • 538
    • -2.71%
    • 이오스
    • 818
    • +0.37%
    • 트론
    • 173
    • -1.14%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650
    • -1.1%
    • 체인링크
    • 19,650
    • -0.51%
    • 샌드박스
    • 473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