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코스닥 시장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부실한 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상장폐지 기준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강상묵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부 차장은 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열린 ‘2024 서울 바이오·의료 오픈콜라보’에서 ‘찾아가는 기술특례상장 설명회’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은 방안을 소개했다.
이날 발표는 바이오기업의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주요 심사 사항과 기술평가 방향성 소개 등으로 진행됐다.
강 차장은 “시장 상황이 나빠 기업들이 가치를 더 받을 수 있는 시기를 모색하고 있다. 가치를 받기 위해선 신뢰를 받아야 지속가능한 시장이 될 것”이라며 “나스닥은 기업이 상장하기도 쉽고 상장폐지도 쉽다. 우리도 부실 지표가 있는 기업이 시장에서 적시에 나갈 수 있어야 신뢰도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조치를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바이오기업에 상장은 자금 조달을 위한 중요 수단이다. 실적이 없는 산업 특성상 투자 유치로 기업 운영과 신약개발을 진행한다. 따라서 바이오기업은 기술력을 앞세워 기술특례상장 제도로 상장해 자금을 조달한다.
기술특례상장은 중소기업, 혁신 중견기업 중 기술력과 성장성이 뛰어난 유망 기업이 기술평가를 활용해 기술력과 성장성을 증명하고 코스닥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제도다. 한국거래소가 선정한 전문기관 기술평가에서 A, BBB 등급 이상을 확보하면 상장예비심사 신청 자격이 부여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05년 기술특례상장이 처음 도입된 후 200여 곳이 넘는 기업이 상장했고, 5조3000억 원을 조달했다. 이중 절반이 넘는 132곳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분야다. 올해는 15개 기업이 상장했다.
그러나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며 최근 오름테라퓨틱처럼 상장 철회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강 차장은 바이오기업의 기술특례상장 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특성마다 심사 포인트가 다르다며 핵심을 잘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기술특례상장은 현재의 영업실적보다는 성장 잠재력을 기준으로 하기 한다”며 “기술의 완성, 기술의 경쟁 우위, 기술 개발 환경 및 인프라 등 3개의 주제로 9가지 항목을 검토하고, 기술의 경쟁우위, 성공 가능성, 연구개발 역량, 지적 재산의 보유, 수익 창출 가능성 등 5개 지표를 기준으로 삼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보유 기술과 사업 등 기업 성격에 따라 세부 심사기준이 다르다고 했다. 강 차장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협업 파트너를 중점적으로 본다. 신약개발 기업은 개발단계와 데이터, 특허 보유 여부 등이 중요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연구개발 기업의 심사 포인트로 △현재 회사의 인력 구성이 신약개발 측면에서 적절히 구성됐는지 △향후 회사의 인력 구성 계획 및 실행 방안이 신약개발 측면에서 적절히 계획됐는지 △현재 연구 중인 파이프라인이 향후 개발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계획이 있는지 △개발에 실패한 파이프라인의 위험관리 계획이 있는지 △회사가 투명하게 임상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