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기업들이 올해 약 8조 달러(약 1경1808조 원)로 역대 최대 규모로 부채를 조달했다고 28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시장정보업체 LSEG에 따르면 올해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과 투자부적격 등급의 기업이 자금을 조달 수단인 레버리지론으로 조달한 부채는 7조93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33% 이상 늘었을 뿐 아니라 2021년 이전 최고수준을 넘어섰다.
미국 제약회사 애브비는 2월 이뮤노젠과 세레벨 테라퓨틱스 인수를 위해 투자등급 채권을 판매, 약 1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이외에도 시스코 시스템즈,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보잉, 홈디포 등이 대규모 자금 조달에 나섰다.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전부터 강력한 투자 수요가 기업의 차입 비용을 끌어내리면서 부채 조달 규모가 급증했다고 FT는 설명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투자등급 회사채 수익률도 3년 전 2.4% 보다 높은 5.4% 수준으로 올라, 글로벌 회사채 펀드에는 사상 최대인 1700억 달러의 신규 자금이 유입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미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미국 투자등급 채권 평균 스프레드가 미 대선 이후 1990년 후반 이래 가장 적은 0.77%포인트(p)까지 좁혀져 기업들의 조달 비용도 줄었다.
특히 국채 대비 조달 비용이 낮은 상황에서 미국 대통령선거를 전후로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자 기업들이 채권 발행을 서둘렀고, 나아가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압승에 스프레드가 더 작아지자 일부 기업에선 내년 계획까지 앞당겼다.
JP모건체이스의 마크 베이너레스 투자등금 금융 부문 글로벌 공동책임자는 “내년에도 차입 활동이 꾸준히 유지될 것”이라며 “대규모 인수합병 관련 부채 자금 조달 가능성이라는 ‘와일드 카드’도 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낙관론에 우려를 표명하는 목소리도 있다. 스프레드 확대나 경기 둔화 가능성 등 하방 위험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관점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