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지 않으면 작업 안 한다"…롯데건설, 안전경영 강화

입력 2025-01-23 14: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현철 롯데건설 부회장이 서초구 잠원동 본사에 위치한 AI안전상황센터에서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자료제공=롯데건설)
▲박현철 롯데건설 부회장이 서초구 잠원동 본사에 위치한 AI안전상황센터에서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자료제공=롯데건설)

롯데건설은 올해 ‘안전 최우선 가치 실현, Let’s be Safe 2025!’를 안전 슬로건으로 설정하고 현장 중심의 안전의식 확립을 위한 3대 핵심전략 및 9대 추진과제를 통해 안전경영 강화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롯데건설은 올해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실행력 강화’, ‘안전 관리체계 고도화’, ‘구성원 수준 향상을’ 3대 핵심전략으로 설정하고 현장 안전활동 지원, 사각지대 관리 강화, 파트너사 안전 체계 구축, 근로자 교육강화 등 9대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전날 ‘안전 점검의 날’을 맞아 서초동 복합시설 현장에 방문한 박현철 롯데건설 부회장은 "현장을 중심으로 안전의식을 확립하고 안전하지 않으면 작업하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위험요소를 근절해야 한다"며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

롯데건설은 수도권·영남·호남 3개 권역에 안전지원센터를 설치해 현장 안전점검 효율을 높여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예정이다. 더불어 사각지대 없는 현장을 만들기 위해 AI 안전상황센터의 모니터링 강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이동식 CCTV를 현장에 추가로 설치하고 통신이 취약한 지하층에는 통신 설비를 보강할 계획이다.

또한 위험 작업에 대한 작업중지권 사용 확대를 위해 기준을 명확하게 설정해 근로자와 현장 관리자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롯데건설은 업계 최초로 파트너사 선정 시 ESG 안전등급을 차등 적용해왔으며, 올해부터는 수시평가를 실시해 파트너사의 안전 수준도 더욱 높일 예정이다.

이외에도 근로자의 안전인식 강화를 위해 사고사례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해 이해도를 높이고, 위험 작업에 대한 특별교안 10종을 제작해 근로자에게 제공한다.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언어별 비상 대응 가이드를 배포하고 통역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현장 중심 안전 활동을 통해 안전보건 실행력을 강화하고, 자율 안전 실천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전 현장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165,000
    • -1%
    • 이더리움
    • 4,835,000
    • -3.3%
    • 비트코인 캐시
    • 622,500
    • -4.89%
    • 리플
    • 4,468
    • -2.79%
    • 솔라나
    • 330,800
    • -5.86%
    • 에이다
    • 1,382
    • -3.49%
    • 이오스
    • 1,127
    • -7.62%
    • 트론
    • 378
    • -3.08%
    • 스텔라루멘
    • 603
    • -4.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550
    • -5.17%
    • 체인링크
    • 35,230
    • -8.11%
    • 샌드박스
    • 738
    • -7.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