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동양건설산업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문제를 놓고 ‘속앓이’를 하고 있다. 헌인마을 개발사업 공동 시공사인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의 운명이 엇갈리면서 주책권은행으로써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헌인마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주단의 삼부토건 지원안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첨예하게 의견이 대립했던 이자 감면과 르네상스호텔 매각 시한에 대해 대주단이 한 발 물러서면서 삼부토건은 법정관리를 철회할 수 있게 됐다. 반면 추가자금 지원을 받지 못한 동양건설은 법정관리 개시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대주단과 건설업계는 “신한은행이 리스크 관리만 집중하면서 기업을 살리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동양건설이 이미 준공된 김포 걸포지구 등의 3200억원 어치 매출채권을 담보로 1200억원 운영자금 지원을 요청했지만 신한은행이 추가담보가 필요하다며 거절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한은행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 매출채권에 대한 담보 설정액이 800억원에 불과하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 2000억원 규모로 담보가 설정돼 있는 등 이미 담보로서 가치가 없다”며 “고객이 맡긴 자금으로 운영을 하는 은행으로써 무작정 지원만 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일각에선 헌인마을 개발사업 부실로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이 법정관리를 선택한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추’부터 잘못됐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문제가 된 헌인마을 개발사업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2100억원 해결을 위해선 헌인마을 개발사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담당한 대주단이 가졌어야 하는데 책임을 신한은행에 넘겼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주단은 르네상스호텔을 추가담보로 제시한 삼부토건에 대해선 자금지원을 결정한 반면 동양건설에 대해선 자금지원을 하지 않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매출채권에 대한 담보가 확실하다면 헌인마을 개발사업 대주단에서 자금지원을 결정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바꿔 보면 대주단조차 포기한 동양건설에 대한 지원을 신한은행에 떠넘긴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간 리스크 떠넘기기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닌 만큼 서로의 입장만 내세우기 보다 지금은 동양건설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