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과 2009년 워크아웃(7곳)과 법정관리(1곳)가 진행중인 업체는 모두 8곳에 불과했지만 이후 지속된 건설경기 침체로 구조조정을 받는 건설기업수도 해를 거듭하며 크게 늘어난 것이다.
문제는 앞으로 더 늘어난다는 것이다. 건설·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 됨에 따라 퇴출위기에 직면한 건설사들이 부지기수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건설사들이 공공·민간공사 감소, 주택시장 장기침체, 유동성 부족, 수익성 악화 등 4중고에 시달리면서 벼랑끝에 몰리고 있다.
실제로 그나마 가뭄에 단비가 돼 주던 공공공사 물량도 줄어 들고 있어 건설사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5년 새 건설사 매출 구조의 3대축 가운데 공공공사 주택건설 등 2개축이 무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공공공사 물량은 2009년 58조4000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0년 38조2000억원, 2011년 36조6000억원 2012년 35조3000억원(추정) 등으로 급감하고 있다.
주택시장 침체도 건설사들을 옥죄고 있다. 이명박 정부들어 17차레나 대책을 발표했으나 주택시장은 오히려 더 위축되고 있다. 최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6월 주택 매매거래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6월에 비해 주택 거래량이 29.3%나 줄어 들었다.
특히 강남 대책이라고 불린 5.10대책에도 강남 3구는 거래량이 전국 평균보다 오히려 더 컸다. 기존 거래시장 침체에 동탄2기 신도시 분양을 연기하는 등 신규 분양시장도 개점휴업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최근 구조조정 및 퇴출 리스트에 오른 17개 건설사(시행사 15개사) 이외에 하반기 추가적인 건설사 연쇄부도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해외 건설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특히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이 해외 진출에 고삐를 죄면서 최근 해외에서 ‘제살 깎아먹기’식 출혈 수주 사례 마저 부쩍 늘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의 텃밭이라는 중동이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다. 예컨데, 1·2위 업체 간 입찰가격 차이가 최대 20∼30%까지 차이 나는 등 제시한 금액으로는 도저히 공사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국내 건설사들끼리 맞붙을 경우 공사가격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잘 알고 있는 해외 발주처들이 국내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할 때까지 입찰을 연기하는 사례까지 늘어나고 있다.
이에 건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각계의 제언이 나오기도 한다. 주택시장의 3대 현안으로 떠오른 ‘분양가 상한제 폐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취등록세 감면’ 이 그것이다.
하지만 여야 정치권은 물론 정부 내에서 조차 사안마다 의견이 첨예하게 갈려 어느 것 하나 쉽사리 해결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해결 답안을 알면서도 답안지를 공란으로 비워두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시장 연착륙 방안을 조속히 내놓지 않으면 일본형 장기불황에 빠지는 건 시간 문제”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