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기업규모, 경영역량, 업종특성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같은 기준에서 상대평가를 받으면서, 하위에 진입한 회사들이 평가받기를 꺼려하고 있다는 것. 이에 기업의 자발성과 동반성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평가척도가 제시됐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상생협력연구회는 23일 제4회 건강한 기업생태계 조성포럼에서 ‘공유가치창조형(CSV) 상생협력 평가모델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회에서 이성근 성신여대 교수는 “현행 동반성장지수를 기업규모와 협력사의 역량에 따라 ‘5단계 스텝-업’ 평가방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행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성장위원회가 상대평가 방식으로 ‘우수-양호-보통-개선’의 4등급으로 나눠 매년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평가하는 공정거래협약과 동반위가 조사하는 중소기업체감도를 50대 50의 비율로 합산한 값이다.
이 교수는 “현재 4등급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기업은 ‘동반성장 꼴찌 기업’으로 이미지가 훼손된다”며 “그러나 이들 기업들을 평가 대상이 아닌 기업과 비교하면 동반성장을 비교적 잘 준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평가대상 기업들을 기업규모별, 경영역량별, 업종특성별 등으로 나눠 지수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교수에 따르면 먼저, 동반성장협약 평가항목의 구성과 이행난이도를 기업역량과 현실여건에 맞게 1~5단계로 차등설계해 평가한다. 평가 받은 기업은 동반성장 이행레벨을 단계적으로 높여 점차 상위레벨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이종욱 서울여대 교수는 CSV(공유책임활동) 기반의 참여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을 제안했다. 양금승 협력센터 소장은 “동반성장의 기업문화를 꽃 피우기 위해서는 기업 역량에 따라 노력에 상응한 인센티브를 받는 CSV 상생협력 평가모델이 동반성장지수의 대안 모델로 채택돼야 한다”며 “이를 정부와 동반성장위원회에 건의하고 제도화 방안을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