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글로벌 금융허브로 부상하나

입력 2014-07-02 17: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2년 글로벌 금융자금의 32%가 신흥시장으로 흘러들어…부산, 해양산업 특화 금융센터로 떠올라

아시아가 미래 글로벌 금융허브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빠른 경제발전과 중산층의 확대 등으로 상하이와 서울 등 신흥 아시아 금융센터들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했다.

맥킨지글로벌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글로벌 금융자금의 약 32%가 아시아를 포함한 신흥시장에 흘러들었다. 이는 10년 전의 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맥킨지는 오는 2025년까지 18억명이 소비계층에 편입되며 그 대부분은 신흥시장에서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흥시장 소비자들은 2025년 지출 규모가 30조 달러(약 3경297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의 12조 달러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는 중국 상하이와 서울,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등 떠오르는 금융허브나 홍콩, 싱가포르 등 기존 아시아 강자들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CNBC는 전했다.

영국 런던과 미국 뉴욕 등 기존 금융허브는 최근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국 컨설팅업체 Z/Yen이 지난 3월 발표한 글로벌금융센터지수에서 런던은 해당 통계가 시작된 2007년 이후 처음으로 뉴욕에 1위 자리를 빼앗겼다. 리보(런던 은행간 금리) 조작 파문과 환율 조작 의혹 등으로 신뢰성이 다소 떨어진 영향이다.

유럽연합(EU) 탈퇴 목소리가 커지고 스코틀랜드 독립 주민투표가 9월에 이뤄지는 것도 금융허브로서 런던 입지를 약화시키고 있다.

뉴욕은 미국 금융당국이 최근 BNP파리바에 100억 달러 이상의 벌금을 부과하려 하는 등 규제가 강화되고 금융산업에 적개적인 움직임이 보이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CNBC는 설명했다.

물론 금융산업에서 여전히 핵심 언어는 영어이며 법적 시스템도 아시아에 비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런던과 뉴욕의 영향력은 앞으로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지난 25년간 뉴욕 홍콩 런던 등 초대형 금융허브 이외 새로운 경쟁자들이 속속 등장하는 상황을 주목했다.

우리나라 부산은 해양산업에 특화된 금융센터로 부상하고 있다. Z/Yen의 지난 3월 조사에서 부산은 카사블랑카에 이어 앞으로 가장 발전 가능성이 큰 금융센터 2위로 꼽히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900,000
    • +1.24%
    • 이더리움
    • 4,976,000
    • -1.47%
    • 비트코인 캐시
    • 710,000
    • -0.77%
    • 리플
    • 2,321
    • +14.05%
    • 솔라나
    • 338,200
    • +2.7%
    • 에이다
    • 1,479
    • +6.79%
    • 이오스
    • 1,166
    • +4.76%
    • 트론
    • 284
    • +1.07%
    • 스텔라루멘
    • 743
    • +1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650
    • -2.01%
    • 체인링크
    • 25,040
    • +0.04%
    • 샌드박스
    • 892
    • +8.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