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바이오기업 ‘선플라워(Sunflower Therapeutics)’에 200만 달러(약 27억8000만 원)를 투자하는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SAFE’는 현재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초기 스타트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향후 요건을 갖춘 후속 투자가 있을 때 약정된 조건대로 지분 비율을 결정
엑스페릭스는 지난달 21일부터 24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최대 디지털 ID 솔루션 관련 전시회인 'ID4 Africa'에 참가해 회사의 대표 제품인 지문스캐너 ‘리얼스캔 S60’이 모듈러 오픈소스 아이덴티티 플랫폼(MOSIP)의 안드로이드 기반 최신 서비스에 연동 및 시연을 선보였다고 5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시연이
국내 기업들이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mRNA 기술은 코로나19 백신에 적용되면서 최초로 상업화됐지만, 바이러스뿐 아니라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 개발에 적용될 수 있어 업계의 기대감이 크다.
2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외 시장에서 mRNA 기술의 가치가 급부상하고 있
#지난해 해임 사태를 겪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3월 이사회 복귀를 알리며 새로운 여성 이사를 소개했다. 수 데스몬드 헬만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 전 CEO와 니콜 셀리그먼 소니 전 사장, 피지 시모 인스타카트 CEO 등 3명이다. 미국 사회가 백인 남성 위주인 오픈AI 이사회를 강하게 비판한 데 따른 조치다. 주요 외신은 챗GPT
브렛 의장 조사결과 발표“해임 필수적으로 요구 안해”“올트먼 적합한 리더”이사회 멤버 6명에서 7명으로 늘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작년 11월 축출 시도를 둘러싼 한바탕 소동이 올트먼의 이사회 복귀 성사로 4개월 만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픈AI 이사회 의장인 브렛 테일러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는 23일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와 공동 개발한 장티푸스 접합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 멀티주(NBP618)’가 세계보건기구(WHO) 사전적격성평가(Pre-Qualification, PQ)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감 백신 2종, 수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장티푸스 접합 백신이 세계보건기구(WHO) 사전적격성평가(PQ) 인증을 획득하며, 신규 해외 시장 진출에 청신호를 켰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제백신연구소(IVI)와 공동 개발한 장티푸스 접합 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 멀티주(과제명 NBP618, 이하 스카이타이포이드)’가 WHO PQ 인증을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로써
큐라티스는 글로벌 국제 기구들과 공동 개발하는 주혈흡충증 백신이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투여됐다고 26일 밝혔다.
주혈흡충증 백신은 미국에서 임상 1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으며, 지난해 11월 아프리카에서 임상 1b상 투여를 개시했다.
주혈흡충증은 소외열대질환(NTD) 중 하나로, 주혈흡충 기생충에 의한 감염병이다. 말라리아에 이어 가장 파괴적인
차백신연구소는 ‘재단법인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이하 라이트재단)’으로부터 지원받아 진행한 연구에서 설하투여형 코로나19 백신의 효능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차백신연구소는 ㈜팬젠과 스위스 바이오 기업인 바이오링구스(BioLingus)와 함께 ‘설하(혀밑) 투여가 가능한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제를 제안해 2021년 2차 기술가속연구비 지원사업에 선정
코오롱생명과학은 국제 비영리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이하 DNDi, Drugs for Neglected Diseases initiative)과 소외열대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인 ‘회선사상충 치료제의 저비용, 지속가능 공정 개발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보건복지부,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한국 바이오 기업이 공동 출연한 국제보건기술연구
유바이오로직스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신 제조사 바이오백(Biovac)과 수막구균 5가 백신 현지 원액 공급 및 완제 생산기술 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MOU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전 세계의 백신 제조업체와 글로벌 파트너 및 이해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인 개발도상국 백신 제조 네트워크(DCVMN)의 제24차
큐리언트가 혁신 항암 신약개발 임상에 속도를 내며 올해 말과 내년 초 개발 중인 신약의 임상 결과를 속속 공개한다. 특히 비용절감을 시행하고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자금 확보에도 나선다.
남기연 큐리언트 대표는 14일서울 여의도 KB증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재 바이오텍 가치 판단의 변곡점 구간에 진입했다. 앞으로의 상황은 고무적일 것”이라고 긍정적으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는 24일 호주의 백신 플랫폼 개발 전문기업 백사스(Vaxxas)와 고밀도 마이크로어레이 패치(High Density Microarray Patch, HD-MAP) 기술을 적용한 장티푸스 단백접합 패치백신을 공동개발하는 업무협약(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와
SK바이오사이언스는 호주의 백신 플랫폼 개발 전문기업 ‘백사스(Vaxxas)’와 ‘고밀도 마이크로어레이 패치(High Density Microarray Patch, HD-MAP)’ 기술을 적용한 장티푸스 단백접합 패치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의 협력은 글로벌 헬스케어 자선 재단인 영국 ‘웰컴트러스트(Wellcome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자체 개발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이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사용목록(Emergency Use Listing, EUL)에 등재됐다고 19일 밝혔다.
스카이코비원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미국 워싱턴대학 약학대 항원디자인연구소(Institute for Protein Design, IPD)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으로, 면역반
16일 시진핑과 일대일 면담 예정시진핑, 코로나 이후 외국 기업가와 첫 대면마지막 만남은 2015년 보아오포럼18~19일 블링컨 국무장관 방중 예정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창업자가 중국 방문 기간 중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복수의 소식통은 “중국을 방문 중인 게이츠가 16일 시 주석을 만날
2020년 5월부터 3년간 연구 진행…수집된 데이터 익명화
KT는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펀딩을 받아 3년간 진행해온 ‘감염병 대비를 위한 차세대 방역 연구’를 마치고 수집된 일부 데이터를 익명화해 일반에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KT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감염병 자가진단 알고리즘’과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경로 예측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바이오 분야의 글로벌 톱티어(Top-tier)로 도약하기 위해 향후 5년간 2조40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연구개발(R&D) 영역에 1조2000억 원, 시설 설비·인수합병(M&A) 등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며 “
체외 의료기기 기업 미코바이오메드가 경영 쇄신에 나선다.
미코바이오메드는 제14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2인을 신규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전 대표이사였던 김성우 사내이사는 일신상의 이유로 사임했으며, 그 외 이사진은 유지했다.
이사회에서는 대표이사를 홍영석 사내이사로 변경했다. 홍 신임 대표이사는 고려대학교 학사, 석사 출신으로 미국 퍼듀
의료진단 벤처기업 노을은 재단법인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이하 라이트재단)과 함께 말라리아가 풍토병화 된 지역의 공공시장 진입 가능성을 확인하고 글로벌 임상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노을이 라이트재단으로부터 받은 협력기금 약 40억 원은 앞으로 3년간 마이랩 플랫폼(miLab™ Platform)의 아프리카 및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