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와 이력관리제가 본격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전면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국토는 최근 전기차 화재 등으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해 9월 전기차 화재안전 관리대책을 발표
LG생활건강이 AI(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상용화를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AI 기반 고효능 성분을 담은 화장품을 선보일 계획으로 특히 브랜드 ‘더후(The Whoo)’에 첫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LG AI 연구원과 함께 AI 모델을 활용해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소재다. 화장품
셀트리온(Celltrion)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으로부터 인천 송도 연수구에 증설하는 신규 완제의약품(drug product, DP) 공장의 착공허가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신규 DP공장은 연간 800만개 액상 바이알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기존 제1공장 인근 부지에 지어진다. 신규 DP공장이 완전히 가동되면 연간 400만개 바이알 생산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한해 7조 원에 달하며, 근로자의 백신 접종이 기업의 경제적 이득으로 이어진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모더나코리아는 1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빌딩 HJ비즈니스센터에서 ‘메신저리보핵산(mRNA) 미디어 인사이트’를 개최하고 코로나19가 미친 손실과 백신 접종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이한길 아주대학
앞으로 고속도로를 설계할 때 도로 차량정체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은 강화하기 위해 주말 교통수요와 개발계획을 반영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도로분야 전문기관 및 기업 등과 함께 정책 세미나를 열고 도로정체 및 안전성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향후 착수하는 모든 고속도로 설계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세미나에 참석한 이우제 국토부 도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자회사인 아이리드비엠에스(iLeadBMS)는 CXCR7 작용제 ‘IL21120033’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특발성폐섬유증(IPF)에 대한 희귀의약품 지정(ODD)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IL21120033은 케모카인(chemokine) 수용체인 CXCR7(C-X-C chemokine receptor 7)에 작용
부식에 강하고 100% 재활용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소재로 만든 어선이 국내 첫 건조에 성공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국내 최초로 HDPE 소재를 활용한 시제 어선을 건조하고 성능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HDPE 소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기존 섬유강화플라스틱(F
CXL 2.0 기반 256GB 제품 전파 인증지난해 개발 완료…본격 양산 앞둬
삼성전자가 차세대 인공지능(AI) 솔루션으로 꼽히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제품을 상반기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CXL은 AI반도체로 주목받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뒤를 이을 차세대 메모리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최적의 제품을 적기에 공급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
편의‧효율성 높은 마이크로니들 치료제 ‘주목’국내 기업도 개발…허가‧GMP 등 규정은 미흡식약처, 올해 상세한 가이드라인 제정 예정
마이크로니들(미세바늘) 제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서도 여러 기업이 개발하고 있지만, 상용화를 위해서는 명확한 품목허가와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가이드라인이
트럼프 주니어와 ‘골프 비즈니스’ 회동트럼프 행정부와 네트워크 강화 나서모하비주행시험장 찾아 직원 격려미국 현지 생산ㆍ투자 확대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직접 미국을 찾았다. 정 회장은 북미 사업장을 점검하는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과도 만나며 현지 네트워크 강화에도 나
이엔셀은 개발 중인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EN001’의 듀센 근이영양증(DMD) 환자 대상 한 단회 정맥투여 임상 1상 결과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임상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 신경학(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실렸다.
DMD는 진행성 근이영양증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유전성 질환
금융사 망분리 규제를 완화해 내부 업무망에서도 생성형 AI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 원본 데이터 활용이 확대된다.
국무조정실은 13일 범부처적으로 발굴한 기획형 규제샌드박스의 1차 추진 과제목록 5개를 발표했다. 기존 규제샌드박스는 개별 기업이 요청한 규제에 대해서만 특례를 부여하지만 기획형은 종합적인 관점에서 규제 개선 여부를
금감원, IT감사 가이드라인 마련자율적 내부통제 체계 구축 필요3단계 내부통제 체계 도입
금융감독원이 금융권의 IT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IT감사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13일 금감원은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핀테크산업협회 등 7개 협회·중앙회와 'IT감사 가이드라인 마련TF' 마무리 간
정부가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 확보와 미래차 핵심부품 공급망 확충에 올해 5000억 원가량을 투자한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총 4326억 원을 자율주행, 전기차와 수소차 관련 연구·개발(R&D)에 투입하고, 이 중 644억 원은 신규과제에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달 14일 1차 신규 R&D 지원과제를 공고하고 자율주행, 공급망 개선, 미래차 핵심
2005년 설립 후 5000여 대 차량 주행 테스트 거쳐정의선 회장, 20주년 기념식 참석해 직원들과 소통정 회장 “앞으로의 혁신에도 핵심 역할 할 것”
현대자동차·기아의 품질 경영을 상징하는 미국 캘리포니아 모하비주행시험장이 설립 20주년을 맞았다.
현대차·기아는 10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시티에 위치한 모하비주행시험장에서 20주년 기념행사
속눈썹·화장품 제조업체 인터워크코리아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인터워크코리아(인터워크)는 속눈썹 제조자개발생산(ODM)·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100% 한국산 합성원사를 사용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자연스러운 속눈썹을 제작, KC 인증을 획득해 안전성도 입
아리바이오는 AR1001의 글로벌 임상 3상의 환자 모집이 80%를 넘어섰다고 13일 밝혔다.
글로벌 임상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에서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며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3개월 내 목표 환자 모집을 완료할 예정이며, 예상보다 중도 탈락 비율이 적은 점도 조기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있다. 영국, 유럽, 한국 및 중
국내 제약사들이 최근 ‘개량신약’ 개발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 일반적인 신약개발의 경우 성공 가능성이 크지 않고, 2조~3조 원의 비용과 약 10년정도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개발 위험(리스크)가 낮은 개량신약 투자를 강화하는 제약사가 늘고 있다.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0년 허가된 개량신약은 6개였으나 2021년 7개, 2022년 9
국내 편의점 3사가 핀테크 기업 토스와 손잡고 ‘얼굴 인식 결제’ 등 간편결제를 확대한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와 슈퍼마켓 GS더프레시는 비바리퍼블리카(토스)와 손잡고 ‘페이스 페이’ 및 ‘QR·바코드 결제’ 등 신규 간편결제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앞으로 GS25에서는 토스 페이스 페이와 QR·바코드 결제가 모두 가능하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고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 확립을 위한 공동 연구’에 유일한 민간 기업으로 참여해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WHO는 지난해 10월 SARS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을 공표했으며, SK바이오사이언스는 면역원성 분석 연구를 진행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