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근로자가 주 1회만 재택근무를 활용해도 기업에 장려금이 지급된다. 또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유연근무를 활용할 땐 지원금이 최대 2배 인상된다.
고용노동부는 올해부터 이같이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정부 지원을 확대한다고 13일 밝혔다.
먼저 유연근무 활용에 따른 사업주의 관리부담 완화를 위해 유연근무 활용 근로자당 월 최대 30만
Z세대는 워라밸보다 연봉이 높은 기업에 입사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1578명을 대상으로 '2025년에 입사하고 싶은 기업' 설문조사를 한 결과 1위는 '연봉 높은 기업(43%)'이 차지했다. 2위는 '워라밸이 최고인 기업(18%)'이었으며 '근무 분위기 좋은 기업(15%)', '복지가 훌륭한 기업(13%)', '동료
최근 숲세권이나 공세권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아파트 구매 시 쾌적한 주거여건이 큰 척도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업무시설 수요에도 쾌적성이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2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아파트나 주택 등이 대거 들어서 있어 업무시설 주변으로는 녹지 여건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산림청 집계 기준으로 서울의 1인당 생
지난해 일·생활 균형 여건이 대체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위 지역과 하위 지역 간 격차는 더 커졌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3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지수’를 보면, 지난해 총점은 전국 평균 60.8점으로 전년보다 2.1점 상승했다. 고용부는 일, 생활, 제도, 지방자치단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를 토대로 일·생활 균
자연과환경은 최근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가족친화 인증은 자녀 출산 및 양육 지원, 유연 근무 제도, 가족친화 직장문화 조성 등 가족친화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과 공공기관에 대해 심사를 통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저출산·고령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등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근로자가 가정생
‘워라밸’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일과 가정의 균형을 챙겨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고 좋은 인력을 확보하려는 스타트업이 늘고 있다.
23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축산물 B2B(기업간거래) 직거래 온라인 플랫폼 전문기업 미트박스글로벌은 시차출퇴근제, 자녀교육지원제도 등 복지제도를 운영해 ‘가족친화인증기업’을 획득했다.
미트박스글로벌은 즐겁게 일할
생산성 뒤진 한국 근로시간도 짧아워라밸만 외쳐선 반도체 경쟁 못해연구개발직 규제 예외 적용 시급해
2012년 일본을 방문해 현지 대기업들의 근로시간실태를 취재하면서 적지않게 놀란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선 상상도 할수 없는 긴 연장근로시간을 허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노동기준법상 연장근로 한도를 주 15시간, 월 45시간, 연 360시간 등으로 제한하
동성케미컬의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 자회사 제네웰이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대한민국 일・생활균형 우수기업'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중견기업 가운데 임직원의 ‘워라밸(Work-Life Balance)’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해 온 데 따른 것이다.
제네웰은 유연한 근무 환경 조성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근무 장소에 구애받
건설업계가 청년층 이탈로 몸살을 겪고 있다.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선 Z세대(1995~2012년 출생자)의 직업을 선택할 때 중시하는 가치를 자세히 살피고, 건설업이 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5일 글로벌 컨설팅사 ‘BDO’가 10개 국가의 Z세대 378명과 건설사 경영진 336명을 대상으로 건설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
경기침체 지속ㆍ청년 실업률 증가로 악화직무 관련 업무 경험 기회 얻기 힘들어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이 올해 하반기 취업 환경이 상반기보다 악화됐다고 느낀 것으로 파악됐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 느낀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직무 관련 경험 및 경력 개발 기회 부족’을 꼽았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7일 발표한 미취업 청년 1000명을 대상
임신 초 유·사산휴가가 5일에서 10일로 늘고, 사용대상이 배우자까지 확대된다. 일·가정 양립 우수 중소기업에 대해선 정기세무조사가 유예된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30일 제5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임신·출산 가구 지원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추가 보완과제를 논의했다.
먼저 임신 11주차 이내 유·사산휴가 기간을 5일에서 10일로 확대
서울시, 29일 ‘탄생응원 프로젝트’ 시즌2 출범 발표2년간 6조7000억 투자…저출생 반등 모멘텀 지속저출생 원인 해결 위한 신규·확대 사업 중점 추진
서울시가 저출생 정책 강화를 위해 2년간 6조7000억 원을 투자한다. 최근 서울시의 출생아 수가 반등의 기미를 보이는 만큼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저출생의 근본 원인을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확 바뀐 회사…최연소 女부장으로 승진0→33.3% 여성 부서장 4년 만에 급증출산·육아에도 新 회계 대응 '선봉장'"재밌게 일하고 선택과 집중해야"
‘여풍(女風)’, ‘우먼파워(Woman Power)’. 사회에 진출한 여성들의 활약상을 일컫는 말이다. 전통적으로 남성들만의 분야로 여겨온 여성 금기 분야에 진출한 여성이나 리더십을 지닌 여성 지도자의 사회적
아마존이 최근 전직원에 대해 내년 1월부터 사무실로 복귀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팬데믹 이후 주 2~3일 출근제가 정착돼 가고 있는 분위기 속에서 나온 이번 조치로 재택근무제가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35만 명의 직원과 창고직 등 100만 명이 넘는 현장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세계 최대 고용주이자 기술대기업의 간판격인 아마존의 이 같은 파격적인 근무형
티웨이항공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및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 포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5일 진행한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인증식’은 일자리를 늘리며 일자리 질을 선도적으로 개선한 기업 100곳을 선정해 인증패 수여 및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선정된 기업은 신용평가 및 금리 우대, 중소기업 육성자금 우
CAR-T 치료제 전문 기업 큐로셀은 ‘2024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고용노동부 주관으로 일자리의 증가 및 질적인 개선에 기여한 기업 100곳을 선정해 포상하는 제도다.
큐로셀은 △고용 증가 실적 △청년 일자리 창출 △젊은 기업 문화 등을 인정받아 올해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자리에 올랐다
2000년 평사원 입사해 총지배인까지…25년간 '조선호텔 호텔리어' 근무"가장 기억 남는 고객? 부친이 묵었던 호텔 607호 룸 키 돌려주러 온 외국인""조선호텔 최고의 자산은 역사…서비스는 시간과 사람이 만드는 것""호텔업 앞으로도 성장할 것…국내 호텔ㆍ관광 발전 위해 '질과 양 '균형 필요"
“올해 110주년, 현존하는 국내 최고(最古) 호텔에서
F&F는 ‘2024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이번 인증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에 노력한 기업을 선정하고 격려하는 제도다. 매년 100개의 기업이 선정된다.
F&F는 MLB의 해외시장 진출을 기점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며, 사업 확장에 필요한 우수 인재를 적극적으로 채용해 왔다. 그
최근 며칠 사이에 이전과는 조금 다른 경험을 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꼰대의 대표주자지만, 이를 내색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필자에게 갑갑했던 숨통을 틔워주는 내용이었다.
마침 응원하는 팀의 프로야구 중계가 없는 틈을 탄, 습관적 리모컨 신공에 얻어걸린 채널이 SBS ‘런닝맨’이었다.
내용은 8월 생일자 유재석, 송지효, 하하의 생일파티에 MZ 후배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은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다만 불안정한 수입으로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 워라밸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게 소상공인들의 현실이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소상공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소상공인 일과 생활의 균형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소상공인의 일주일 중 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