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보건복지부 주관 ‘2024 건강친화기업 인증사업’에서 건강친화기업 인증을 획득하고, 우수 기업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건강친화기업 인증사업은 직장 내 문화·환경을 건강친화적으로 조성하는 등 건강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에 인증을 주는 제도다. △건강친화경영 △건강친화문화 △건강친화활동 등의 항목으로 평가를 받는다.
최근 국내외에서 비만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김치가 비만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세계적인 건강전문지에 게재됐다.
7일 세계김치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통해 김치를 섭취한 그룹은 체지방량이 평균 2.6% 감소했지만, 김치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은 오히려 4.7% 증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됐다.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2년 연속 국민건강보험료율이 동결된 데 대해 “재정 운영은 당분간 괜찮다”며 “아껴 지출해서 그렇게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27일 기자간담회에서 “공단 창립 이후 2년 연속 보험료율 동결은 처음 있는 일이다. 걱정이 크지만, 올해 급여 지출이 늘지 않으면서 보험료율이 동결된 부분을 상쇄하고 있다”며
체질량지수(BMI)가 높은 모야모야병 환자들은 질병의 진행률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방재승·이시운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이 한쪽 뇌만 뇌혈관 수술을 받은 모야모야병 환자의 반대쪽 뇌 모아모야병 악화 위험성과 예측요인을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모야모야병은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혈관이 점차 좁아지며 막히는 질환
손을 쥐는 힘인 ‘악력’이 약한 65세 이상 노인은 당뇨병 발병 확률이 높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이대서울병원은 손여주 가정의학과 교수가 지난달 31일 ‘한국인 노인의 상대적 악력에 따른 당뇨병 발병 연관성(Association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on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위고비’의 등장으로 국내 비만 치료 옵션이 늘고 있다. 하지만 비만 치료 접근성 불평등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 비만 치료에 대한 지원이 부족해, 소득 수준에 따라 환자의 건강관리 성패가 갈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건강보험 급여 범위와 환자 교육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1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 비만 환자에게 주어지는 치료 선택지 대부
삼성웰스토리는 유전 인자와 취식·검진·운동 데이터 등 개인의 특성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맞춤형 영양 코칭을 제공한다고 31일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개별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양 코칭 전문가와의 1:1 컨설팅을 통해 목표를 설정한다. 이후 삼성웰스토리의 모바일 건강관리 플랫폼을 통해 취식 정보, 운동 기록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맞춤형 솔루
국내 고도비만 환자 10명 중 6명은 위고비 처방을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65mc가 최근 체질량지수(BMI) 30 이상 고객 2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71%가 위고비를 이미 알고 있고 67%가 위고비를 처방받고 싶다고 답했다.
위고비로 감량하고 싶은 체중은 20kg 이상(41%, 77명)이 가장 많았다. 10kg(3
대한비만학회가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오남용과 불법유통을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비만학회는 23일 성명서를 통해 “비만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는 시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항비만약물 위고비가 한국에 출시되는 것에 대해 환영한다”면서 “하지만 본 학회에서는 항비만약물이 우리 사회에서 오·남용될 수 있는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
'꿈의 다이어트약'으로 불리는 위고비가 국내에 상륙했습니다.
1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위고비는 15일 국내에 정식 출시됐는데요.
위고비는 펜 모양의 주사입니다. 주 1회, 1개월(4주)씩 투여하도록 개발된 비만 치료제인데요. 미국에서 2021년 출시된 후 3년 만에야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위고비의 이름이 완전히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를 처방에 따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고 7일 밝혔다.
GLP-1 성분은 포도당 의존적인 인슐린 분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허기 지연 및 체중 감소 효과가 있다. 해외 유명인들이 해당 성분의 비만치료제를 투약해 체중을 감소한 것이 알려져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오남용 우려
암을 치료한 뒤 체중을 줄이면 당뇨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동욱·조인영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구혜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IF=4.6)’ 최근호에 암 진단 후 체중 변화가 당뇨병 발병에
중년에서 체중이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현상이 잦고, 그 변동 폭이 클 시 조기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류지원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교수, 윤형진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 등록된 국내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건강검진 수진자 360만여 명의 자료를 분석해 체중이 반복적으로 오르내리는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바이오가 새로운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원료를 미국 내 유통·판매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절차를 마쳤다.
코스맥스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개별인정형 원료 '수국잎열수추출물(리세린지)'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NDI(New Dietary Ingredient) 인증을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코스맥스
전 세계적으로 비만치료제 열풍을 선도하고 있는 ‘위고비’가 10월 중순 국내에 출시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다음 달 중순 국내 시장에 ‘위고비®프리필드펜(성분명 세마글루티드, 이하 위고비)’을 출시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다이어트 비법으로 꼽은 비만치료제인 ‘위고비’는 임상 3상에서 68주에
국내 비만 인구가 성인 10명 중 4명에 달하는 가운데 비만병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해야 한단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비만학회는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서울에서 ‘비만 낙인 재생산을 막기 위한 비만 및 체중 관련 보도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비만학회가 발간한 2024 비만 팩트시트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비만병 유병
렘수면행동장애 치료제인 ‘클로나제팜’은 장기 복용해도 환자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윤인영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이민지 순천향대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치료제인 클로나제팜의 장기간 복용과 인지기능 저하는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렘수면행동장애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의 심혈관 및 대사질환 위험 저하 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지원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송유현 강남세브란스병원 헬스체크업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이예지 박사, 박준형내과 김민효 부원장)은 심혈관, 대사질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유산소운동보다 무산소운동이 효과적이라고 21일 밝혔다.
성
부인과 질환으로 인한 복부 절개술에서 피하 배액관을 삽입하는 것이 상처 벌어짐이나 감염 발생률의 유의미한 개선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기동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와 김남경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부인과 질환으로 개복수술을 받은 환자 162명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이같이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최소 침습 수술이
대웅제약, 폐섬유증 신약 美 IDMC서 안전성 입증
대웅제약은 혁신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 중인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 ‘베르시포로신(DWN12088)’이 임상 2상에서 안전성을 검증받았다고 지난달 29일 밝혔다. 베르시포로신은 올해 3월 개최한 1차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