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경기 둔화와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성과급 등 특별급여가 감소하면서 올해 상반기 상용근로자(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지지 않거나 1년 이상인 임금근로자)의 임금 인상률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3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임금총액(초과
지난해 근로자 1명당 노동비용이 전년보다 1.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금이 포함된 직접비용은 증가세가 둔화하고, 간접비용은 감소했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2023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조사’ 결과에서 2023년 회계연도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613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1.9% 증가했다고
물가 둔화에도 실질임금 증가율이 0%대에 정체됐다. 명목임금 증가율이 함께 둔화한 탓이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6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86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4000원(3.3%)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임시·일용직(1
고용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다. 사업체 종사자 증가 폭이 38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데 더해, 채용은 줄고 비자발적 이직은 느는 고용시장 불황이 심화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5월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12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8000명 늘었다. 신
최근 2년 사이 결혼에 성공한 남녀의 스펙이 공개됐습니다. 남자는 연봉 7000만 원, 여자는 연봉 4500만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결혼 성공 모델의 수치가 너무 높은 것이 아니냐는 한탄이 나왔습니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상용근로자의 평균 연봉과도 큰 차이가 있는데요. 이 또한 고소득 연봉자의 연봉을 반영한 터라 중위소득으로 보면 그 차이는
실질임금이 1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그나마 고용은 회복 조짐을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3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올해 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01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율이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1%)에
경총, ‘사업체 임금인상 특징 분석’전년 比 2.8% ↑…인상률은 낮아져초과급여 포함 시 5000만원 넘어금융ㆍ보험 임금총액 8722만원…숙박ㆍ음식점업보다 5700만원 ↑
지난해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정액급여+특별급여)은 4781만 원으로 전년 대비 2.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급여를 포함한 연 임금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5000만
1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 명절 이동으로 지난해 1월이었던 상여금 지급이 올해는 2월로 미뤄져서다.
고용노동부는 28일 발표한 ‘2월 사업체노동력조사(1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1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28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0만5000원(8.6
경총, ‘한·일 임금현황 추이 국제비교와 시사점’ 발표2022년 韓 임금 399.8만 원 > 日 임금 379.1만 원20년 간 국내 대기업 임금인상률 157.6%대기업 높은 임금인상으로 日보다 임금 격차 커져
일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던 한국의 임금 수준이 20년 만에 일본을 넘어섰다. 다만 대기업의 누적된 높은 임금 인상으로 인해 대·중소기업 간 임
지난해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601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비용은 기업체가 근로자 1명을 고용할 때 들어가는 총비용이다. 임금 등 직접노동비용뿐 아니라 사회보험료, 복지비, 퇴직급여, 교육·훈련비 등 간접노동비용도 포함된다.
고용노동부는 21일 발표한 ‘2022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조사’ 결과에서
올 상반기 우리나라 근로자의 임금 인상률이 2.9%에 그쳤다. 작년 상반기 6.1%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성과급 등 특별 급여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별 급여는 기업이 실적에 따라 지급이 결정되는 성과급에 따라 변동이 심하다. 특별 급여가 적었다는 말은 기업 실적이 악화됐다는 점을 의미한다. 기업 실적이 개선되지 않으면,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률 둔화 추
제조업체인 A사는 지난달 노동조합 전임자들에게 근로시간 면제한도를 초과한 급여를 지급하다 적발됐다. A사는 근로시간 면제자 2명에게 면제 근로시간에 대한 급여뿐 아니라 ‘수당’ 명목으로 추가 급여를 지급했다. 다른 제조업체 B사는 조합원 규모상 전일제 면제자를 3명만 둘 수 있었는데 전일제 1명, 시간제 1명 등 2명을 추가로 두다 지난해 11월 적발됐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규모와 업종별로 임금 인상액과 인상률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이나 상여금을 포함한 특별급여의 격차가 주된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경영차총협회(경총)는 26일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특징 분석’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4650만 원으로 2021년 4423만
지난해 상용근로자 1명을 고용하는 데 투입되는 노동비용이 전년보다 8.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저임금 근로자들이 노동시장을 이탈한 탓이다. 직전 2년간 상여금·성과급 축소에 따른 기저효과도 노동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고용노동부는 20일 ‘2021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지난해
상반기 임금총액 인상률이 업종과 규모별로 큰 격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격차는 성과급이나 상여금을 포함한 특별급여 인상률 차이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2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올해 상반기 월평균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384.8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경직적 노동시장·인력 미스매치ㆍ연공형 임금제 개선 필요'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벼랑 끝에 선 청년에게 희망을' 보고서
우리나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경직적인 노동시장 구조와 고학력화·임금격차 등으로 인한 인력수급 불일치를 개선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벼랑 끝에 선 청년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종사 상용직 근로자 임금이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에도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 52시간제로 근로 시간이 줄어 임금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와는 배치되는 결과다.
고용노동부는 10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조선업 포함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임금 및 근로시간 분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는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우리나라 중소기업 대졸 초임 연봉은 대기업 대졸 초임 연봉의 절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이러한 현상이 일자리 미스매치와 임금 격차 심화 등 각종 사회갈등의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4일 경총이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원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우리나라 대졸초임 분석 및 한일 대졸초임 비교와 시사점
지난해 국내 기업이 근로자 1명의 고용 유지하는 데 쓴 노동 비용이 전년보다 1.3% 늘어난 월 평균 540만 원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악화 여파로 상여금ㆍ성과금은 10.6%나 감소했다.
고용노동부가 16일 발표한 '2020년도 기업체 노동 비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10명 이상을 둔 회사법인 기업체
5월 상용근로자의 초과근로시간 증가율이 통계가 집계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5월 근로실태)’ 결과에서 5월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41만8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3만1000원(4.0%) 늘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359만5000원으로 14만4000원(4.2%) 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