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 오렌지, 파인애플 등 신선과일 수입액이 작년 처음으로 2조 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2대 주요 신선과일 수입액은 전년(12억500만 달러)보다 20.1% 증가한 14억4700만 달러(약 2조899억 원)로 잠정 집계됐다. 12대 신선과일은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아보카도, 포도, 키위, 체
삼성증권이 CJ대한통운이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한 물량 증가 등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12일 이같은 이유로 CJ대한통운에 대해 투자의견을 매수, 목표주가는 15만 원을 제시했다. 전날 종가는 8만8900원이다.
김 연구원은 “매일 오네(O-NE)', 당일배송, 도착보장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한 물량 증가와,
지난해 국제선 누적 운송량 12% 증가주요국 중 중국이 가장 큰 폭 증가율이스타·티웨이항공 등 화물사업 확대
글로벌 전자상거래 규모가 확대되면서 국내 항공사들에게 항공화물 사업이 새로운 수익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도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쉐인)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항공사들의 반사이익도 커질 가능성이 높다. 대형
미래사업 투자, 프로모션 확대, 해상 운임비 상승 등 영향북미 지배력 강화 및 유럽 매출 볼륨 확대 등 목표하반기 소형 건설 장비 유럽 론칭도 계획
‘농슬라’ 대동이 지난해 1조4000억 원대의 매출 규모는 방어하는 데 성공했으나 영업이익이 70% 넘게 빠지면서 올해 수익성을 만회하기 위한 방안 등에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
LX인터내셔널은 지난해 매출 16조6376억원, 영업이익 4892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자원가격 하락에도 운영 효율화 및 트레이딩 물량 확대 등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인수한 인도네시아 AKP 니켈 광산이 연결실적에 편입됐고, 팜오일 시황과 해상운임 상승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5.23% 감소한 12조3940억 원, 영업손실은 3002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고 6일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 5조7658억 원, 영업손실 2575억 원을 기록했다. 모듈 및 기타 사업은 글로벌 공급 과잉에 따른 제품 가격 약세로 수익성이 둔화했다. 반면 개발자산 매각 및 EPC(설계·조달·시공)
매출액 3조142억원·영업익 1005억원지난해 글로벌 사업 호조 성장 견인영업이익 통상임금 추정 부담분 반영
조현민 한진 사장이 이끄는 글로벌 물류 사업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한진의 연간 매출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3조 원대를 돌파했다.
한진은 22일 지난해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 기준 누계 매출액이 전년 대비 7.4% 상승한 3조142억 원
박정석 신임 한국해운협회장은 16일 "우수 선ㆍ화주 제도 확대를 통해 대량화물 수송 역량을 강화하고, 친환경 선박 대체를 위한 선박금융 확대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한국해운협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2025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제34대 회장으로 박정석 고려해운 회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이날부터 3년이다.
박 회장은 취임사에서 "현재
지난해 매출 9.2조원·영업익 1.7조 넘을 듯고인치·전기차 전용 타이어 판매 상승 주효한온시스템 인수로 올해 사업 전망 긍정적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또 한 번의 역대 최대 성적표를 받아들 전망이다. 사상 최대 매출에 이어 창사 이후 다섯 번째로 영업이익 최고 성과를 갈아치울 것으로 점쳐진다.
고인치 타이어 판매와 전기차 전용 타이어 수요가 증가한
상의,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 발표대기업 10곳 중 6곳은 1300원대로 사업계획 짜현재 수준인 1450~1500원 예측한 곳 11% 불과원자재 조달 비용ㆍ해외 투자 비용 증가 등 어려움
국내 대기업인 A사는 올해 사업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될 지 여부를 놓고 최근 고심 중이다. 매출의 70% 정도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부품기업
지난해 11월 이후 '물류비' 상승HVAC 등 B2B 사업 강화 추진SDV 전환 등 전장 신사업 박차
LG전자가 지난해 4분기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성적을 받았다. 해상 물류비 증가와 더불어 가전 사업의 고질적인 ‘상고하저’ 흐름의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준 탓이다. LG전자는 올해 기업간거래(B2B)와 신사업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대응할 계획이
LG전자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1461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이 기간 매출액은 22조7775억 원으로, 전년 동기에 견줘 0.2% 증가했다. 매출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3970억 원 대비 크게 밑돌았다.
다만,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87조 7442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2025 글로벌 해상운임 전망 설문조사’ 결과 발표중동사태 장기화·중국발 물량 증가로 물류비 부담해상운송 지원사업 확대·바우처 한도 늘려야
지난해부터 후티 반군의 상선 공격 등 지속된 중동사태로 인해 높은 수준을 유지한 해상운임이 내년에도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올해보다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한국무역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해상운임 다시 상승 추세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탄핵 정국까지… 원ㆍ달러 환율 급등트럼프발 관세 폭탄 우려도신사업으로 가전 사업 돌파구 마련
삼성전자와 LG전자 가전 사업이 운임ㆍ환율ㆍ관세 등 복합 리스크에 직면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위축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두 회사에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이들 기업은 구독 서비스 강화, B2B(기업
정국 혼란에 각 업계 ‘예의주시’트럼프 2기 출범 대미 협상력 우려1400원대 고환율로 원자재 비용↑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14일 국회에서 가결된 가운데 완성차·타이어업계를 비롯한 항공업계도 향후 정국 상황에 대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각 기업들은 내년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을 내세우는 동시에 최근 고환율 상황이
대동, 판관비 급증이 결정타…TYM, 북미 부진은 지속양사 공통 “북미 외 시장 다변화 지상과제”
농기계 업계 양강 기업인 대동과 TYM이 3분기에 모두 적자 성적표를 받았다. 앞서 2분기 매출 역성장에도 이익이 늘면서 감소세를 보인 TYM보다 우위를 차지했던 대동은 3분기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해 상황이 역전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대동
매출 3조5520억…전년 대비 67% 증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이 글로벌 해상 운임 급등에 힘입어 2년 만에 최고 실적을 냈다.
HMM은 13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5520억 원, 영업이익 1조4614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5848억 원)의 약 세 배에 달하며, 올해 처음으로 분기
신한투자증권은 금호석유에 대해 합성고무 중심으로 펀더멘탈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실적 추정치 하향으로 기존 20만 원에서 19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3만6300원이다.
8일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합성고무 중심 펀더멘탈 개선이 기대되며 이익 모멘텀이 점차 확대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