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작투자사업, K-건설 ‘잭팟’ 터뜨릴 묘수 될까…중견사 진출 한계는 ‘숙제’

입력 2024-12-01 1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건설업계 PPP 수주 현황 및 주요 프로젝트. (이투데이)
▲한국 건설업계 PPP 수주 현황 및 주요 프로젝트. (이투데이)

정부가 ‘원팀 코리아’를 통해 해외 건설시장에서의 ‘K-건설’ 점유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가운데 민관합작투자사업(PPP) 형태의 수주가 늘고 있다. PPP 방식은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를 하는 공공기관 등은 향후 운영 이익을 얻고, 건설사는 해외 수주 먹거리를 채운다는 점에서 ‘윈윈’ 전략으로 꼽힌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남부발전, 삼성물산 건설부문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카타르에서 총사업비 37억 달러(5조2000억 원) 규모의 플랜트 사업을 수주했다. 카타르 수전력청 카라마(KAHRAMAA)가 발주한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로, 올해 한국이 참여한 PPP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다.

올 상반기까지 한국 건설사가 외국 시장에서 PPP 방식으로 수주한 사업 총액은 12억7000만 달러로, 총수주액(155억8000만 달러)의 8.2%다. 2022년 10억2000만 달러(3.3%) 대비 약 5%포인트(p) 증가했다. 이번 카타르 프로젝트 실적이 추가되면 올해 말 기준 PPP 사업 비중은 15%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세계적으로도 PPP 사업 발주를 늘리려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중동 산유국을 중심으로 PPP 발주가 늘었다.

한국 건설사 또한 도급사업 중심의 사업 구조 전환을 위한 방안으로 PPP에 지속적인 관심을 표하고 있다. 대표적인 PPP 사업으로는 한국도로공사와 SK에코플랜트 등이 참여한 카자흐스탄 ‘알마티 순환도로’(사업비 7억5000만 달러)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사업독점권을 가진 파키스탄 ‘로어스팟가 수력발전‘(10억3000만 달러) 등이 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2030년까지 PPP 수주액 100억 달러(약 13조9000억 원) 달성을 새 목표로 제시했다. 정부는 7월 ‘해외 투자개발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한국 기업의 사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KIND의 지분 투자 비중을 최대 30%에서 50%로 늘리고 지금은 불가능한 대주주로서 참여를 허용했다.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투자개발사업 특성을 고려해 유·무상 공적개발원조(ODA)·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연계한 ‘패키지’ 지원에 나선다.

지원책은 나와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내기까지는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글로벌 PPP 시장은 에이씨에스그룹(ACS Group), 호흐티에프(Hochtief) 등 유럽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 한국 기업의 진출이 쉽지 않다. 대형 건설사뿐 아니라 중견 기업도 중견기업 PPP 사업을 통한 해외 진출에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투자가 선행돼야 하는 탓 자본이 부족한 중견사의 경우 사업 참여기회 확보 자체가 불가능하다.

업계에선 금융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보다 직접적인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정창구 해외건설협회 금융지원처장은 “PPP 사업처럼 대규모 재원을 투입해야 하는 프로젝트는 안정적인 금융조달이 가장 중요하기에 ODA 등을 최우선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다양한 운영관리(O&M) 경험이 풍부한 서울시 등의 지자체 등이 동반 진출해 사업의 마스터플랜 수립 등을 담당하면 더욱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화랑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대규모 PPP 사업에 대한 정부 간(G2G) 수출 계약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인프라 건설 분야에 한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KIND로 담당 기관을 이관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4년을 휩쓴 밈 총정리…“올해 나는 얼마나 한국인이었나?” [해시태그]
  • 韓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보류"...野, 한덕수 탄핵안 발의
  •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로 수익률 높은 금융사로 갈아탈까 [경제한줌]
  • 한국 경제 ‘환율 1500원’은 죽음의 문턱…대기업도 중기도 생존 위협
  • 엔비디아, 테슬라 밀어내고 올해 개미 최선호주 1위 등극
  • 尹, 서류 제출않고 무대응 일관…헌재 “27일 변론준비기일 진행”
  • 트럼프 2.0에 10대 그룹 시총 순위도 ‘흔들’...조선·전력 보유한 HD현대 최대수혜
  • 송민호 부실 복무 의혹, 경찰 수사받는다…병무청 의뢰
  • 오늘의 상승종목

  • 12.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61,000
    • -1.58%
    • 이더리움
    • 5,059,000
    • -2.28%
    • 비트코인 캐시
    • 661,500
    • -3.5%
    • 리플
    • 3,286
    • -3.55%
    • 솔라나
    • 286,700
    • -2.95%
    • 에이다
    • 1,313
    • -3.38%
    • 이오스
    • 1,190
    • -5.25%
    • 트론
    • 381
    • -1.04%
    • 스텔라루멘
    • 538
    • -5.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500
    • -4.22%
    • 체인링크
    • 34,680
    • -5.04%
    • 샌드박스
    • 844
    • -6.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