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최저시급 1만·폐업 100만 시대 동시 개막…업종별 구분 적용 절실

입력 2025-01-13 14: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역사적인 최저시급 1만 원 시대가 개막했다. 환호의 이면에는 소상공인·자영업자 폐업 100만 시대가 열렸다는 우울한 전망도 존재한다.

지난해 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23년 폐업사업자는 98만6000명으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악화와 내수 침체가 본격화한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폐업사업자는 100만 명을 돌파했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올해 전망은 더 어둡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내수 침체와 소비 위축은 자영업자의 목을 죄고 있다. 소상공인들은 고환율, 고금리, 고유가의 여파에 고스란히 노출된 상태다.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00명 중 절반 이상(55.6%)은 올해 경영 전망이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정치적 리스크로 인한 경영 불확실성은 언제 해소될지 누구도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소상공인 지원정책은 ‘금융지원’이 80.8%로 압도적인 비중을 기록했다. 미래를 준비하기보다는 지금 당장 숨통을 틔울 ‘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정부 간담회에선 “연 매출이 일정 기준 이하인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수당을 지급해 달라”는 극단적인 요구가 나오기도 했다. 그만큼 생존 위기에 몰린 소상공인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최저시급 1만300원은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근로자들의 생계에 도움이 될 거란 기대와 달리 고용 위축 가능성이 더 크다. 키오스크, 테이블 오더 등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수료 부담과 인건비를 저울질해 종업원을 줄이는 선택이 늘고 있다.

또 폐업으로 일자리 자체가 줄어들면서 근로자도 함께 위기에 몰릴 우려가 있다. 파이터치연구원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 증가할 때 4인 이하 소기업의 폐업률은 0.77% 증가한다. 올해 경기 상황을 고려하면 현실은 더 무겁게 다가올 수 있다.

소상공인들은 올해야말로 그간 주장해온 업종별 구분적용 도입이 절실하다고 호소한다. 업종마다 서로 다른 현장의 특성을 더는 외면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폐업 증가, 고용 여력 감소, 경기 침체 등 현실 여건을 고려한 결정이 나와야 한다는 기대도 크다. 올해는 ‘아픈 사장들’이 늘어나지 않을 논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612,000
    • -0.75%
    • 이더리움
    • 4,394,000
    • +0.41%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0.48%
    • 리플
    • 3,969
    • -2.6%
    • 솔라나
    • 321,400
    • -2.34%
    • 에이다
    • 1,204
    • +1.86%
    • 이오스
    • 965
    • +2.01%
    • 트론
    • 353
    • +1.44%
    • 스텔라루멘
    • 538
    • -1.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800
    • -0.23%
    • 체인링크
    • 31,230
    • -1.85%
    • 샌드박스
    • 645
    • +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