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권한대행 "국정 안정·국민 불안 해소 위해선 지자체 협력 절실"

입력 2025-01-17 14: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경제2 분야 주요 현안 해법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경제2 분야 주요 현안 해법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국정을 조기에 안정시키고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지자체)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8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신임 임원단 오찬 간담회'를 주재하고 지역 민생 안정을 위해 중앙·지방 간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 권한대행은 "내수 회복, 지역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재난·안전 관리, 사회적 약자 보호 등 여러 분야에서 중앙과 지방이 더욱 견고하게 협력해달라"고 했다. 또 최 권한대행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 주민 접점에 있는 지자체가 차분하게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있는 데 대해 감사를 표했다.

이에 유정복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은 "지방정부는 국민의 삶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실질적인 행정을 담당하며 주민들의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런 시기일수록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참석자들은 중앙지방협력회의의 내실화를 통해 지역 안정과 민생경제 회복에 협력하기로 했다.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재정을 신속히 집행하고 지역소비, 투자 활력 제고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지방자치분권 강화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재난에 신속히 대응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자는 뜻도 모았다.

최 권한대행은 주요 지역 발전 정책들을 정상 추진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 시도지사협의회 등과 협력해 지연되거나 신속한 추진이 필요한 주요 정책들을 파악하고 관계부처 장관급 회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시도지사협의회 신임 임원단인 유정복(인천광역시장) 회장, 박완수(경상남도지사) 부회장, 최민호(세종특별자치시장) 부회장, 강기정(광주광역시장) 감사 등과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등이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13:3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144,000
    • -1.77%
    • 이더리움
    • 4,253,000
    • -2.94%
    • 비트코인 캐시
    • 517,500
    • -2.73%
    • 리플
    • 3,918
    • -6.31%
    • 솔라나
    • 321,700
    • -3.28%
    • 에이다
    • 1,171
    • -4.02%
    • 이오스
    • 959
    • -0.93%
    • 트론
    • 351
    • +0%
    • 스텔라루멘
    • 534
    • -4.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1.68%
    • 체인링크
    • 30,950
    • -4.92%
    • 샌드박스
    • 624
    • -4.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