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트럼프 관세 리스크 선반영…가격 되돌림 기회 생성 전망"

입력 2025-01-22 07: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익 전망 하향, 추세 상승은 기대하기 어려워…2600~2700p 상단 업종 순환매 장세 예상"

(출처=키움증권)
(출처=키움증권)

키움증권은 22일 트럼프 관세 리스크가 작년 11월 이후 주가 및 밸류에이션 조정을 통해 선반영됐다며 이제부터는 정책의 진행과정으로 조정받았던 가격들의 되돌림 기회가 생성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에서 엿볼 수 있는 향후 주요 정책 체크포인트는 반이민, 에너지, 무역 및 관세 등이 해당한다"며 "앞으로 주식시장 참여자들은 트럼프가 유발하는 관세 노이즈와 불확실성의 장기화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시기와 행태의 문제이지 관세 부과는 현실성 있는 시나리오로 받아들이는 게 합리적인 예측일 것"이라며 "관건은 관세의 수위로 특정 국가 혹은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를 넘어 전면적인 관세, 보편적인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2018~2019년 무역분쟁 이상의 강도로 재발할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관세 리스크는 작년 11월 이후 미국 이외의 주식시장 부진, 달러 및 금리 상승분에 선제적으로 반영된 상태이므로 현재부터는 관세 정책의 수위 및 실현 가능성을 따져보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11월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가 나타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충격을 받았던 자산군들의 되돌림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한국증시도 11월 이후 밸류에이션 조정을 극심하게 겪었으며, 그 안에는 트럼프 리스크가 반영된 측면이 있다"며 "1월 이후 국내 증시가 여타 증시 대비 성과 우위에 있다는 점도 되돌림의 과정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다만, 국내 증시가 추세적인 상승을 하기 위해서는 이익 전망의 반등 가시화가 필요하다"며 "여전히 이익 전망 하향은 현지 진행형인 만큼 1~2개월 이른 시일내에 추세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렵고 1분기 실적시즌 이후에나 그 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 전까지는 2600~2700포인트 레벨에서 상단이 형성된 채 업종간 순환매 장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13:5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233,000
    • -1.46%
    • 이더리움
    • 4,260,000
    • -1.87%
    • 비트코인 캐시
    • 517,500
    • -2.17%
    • 리플
    • 3,919
    • -5.66%
    • 솔라나
    • 320,600
    • -3%
    • 에이다
    • 1,171
    • -3.46%
    • 이오스
    • 956
    • -0.52%
    • 트론
    • 349
    • -0.29%
    • 스텔라루멘
    • 533
    • -4.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0.7%
    • 체인링크
    • 31,070
    • -3.39%
    • 샌드박스
    • 626
    • -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