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앞두고 북적이는 김포공항 주차장…'이용객 가장 많은 날은?' [포토]

입력 2025-01-24 12: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에 차량이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에 차량이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에 차량이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에 차량이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설 연휴를 앞둔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주차장이 차량으로 붐비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달 2일까지 열흘간 전국공항 이용객은 국내선 168만 명, 국제선 60만 명으로 총 228만여 명이 예상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설 연휴기간이 길어져 지난해 이용객 115만 명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출발 기준 2월 1일(약 23만 명)로 예상되며,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6일, 김해공항 25일, 제주공항은 2월 2일이 가장 붐빌 것으로 전망된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
  • '14일 컴백' 블랙핑크 지수, 데뷔 후 첫 솔로 아시아 팬미팅 투어 나선다
  • 한국 컬링 믹스더블, 카자흐스탄 12-0 완파…1패 후 2연승 거둬 [하얼빈 동계AG]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899,000
    • -0.53%
    • 이더리움
    • 4,322,000
    • +2.73%
    • 비트코인 캐시
    • 520,000
    • +2.87%
    • 리플
    • 3,930
    • +1.66%
    • 솔라나
    • 321,100
    • +0.47%
    • 에이다
    • 1,177
    • +4.44%
    • 이오스
    • 966
    • +7.21%
    • 트론
    • 352
    • +3.83%
    • 스텔라루멘
    • 534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550
    • +3.95%
    • 체인링크
    • 30,720
    • +0.46%
    • 샌드박스
    • 629
    • +4.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