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초라한 ‘반도체 굴기’, 자급률 목표는 70%·실제는 16%

입력 2021-10-13 16:16 수정 2021-10-13 16: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제조 2025’ 내세우며 2025년 70% 목표 공언
미국과 분쟁으로 설비 조달 애 먹으면서 목표 차질
정부, 대규모 자금지원·인재 육성 총력전
“반도체, 글로벌 분업 체제 기반…자체 공급망은 한계”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일 신해혁명 110주년을 맞아 연설하고 있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일 신해혁명 110주년을 맞아 연설하고 있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

중국이 야심 차게 추진하는 ‘반도체 굴기’가 초라한 성적을 내고 있다.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 70%라는 원대한 목표를 내세웠지만, 미국과의 분쟁 여파에 목표 달성이 불투명하다.

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반도체 시장 조사기관 IC인사이츠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이 15.9 %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5년 산업 정책인 ‘중국 제조 2025’를 발표하고 당시 10%에도 미치지 못했던 자급률을 2020년까지 40%, 2025년에는 70%로 높이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자급률은 여전히 10%대에 머물고 있다.

낮은 자급률은 미국과의 갈등이 심해지면서 제조설비 조달이 잘 진행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중국 대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SMIC는 8월 기업 설명회 당시 “(미국 정부로부터의) 28나노와 14나노 설비의 허가 취득이 늦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반대로 반도체 수입이 급증하면서 자급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중국 자동차 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분야의 반도체 자급률은 5%도 되지 않는다. 광저우자동차그룹의 펑싱야 회장은 지난달 베이징의 한 행사에서 “이달 반도체 조달 상황은 어떻냐고 묻는 게 이젠 안부 인사가 됐다”며 현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당국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 중이다. 우선 ‘중국 제조 2025’ 일환으로 2014년 1기 투자금으로 약 1400억 위안(약 26조 원)을 지출했고, 2019년에는 2기 투자금으로 2000억 위안을 지원했다.

특히 SMIC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부터 SMIC에 거액의 보조금을 전달한 정부는 올해 3월엔 선전시를 통해 우리나라 돈으로 2조6000억 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하는 등 재정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인재육성에도 한창이다. 4월 칭화대 반도체 학과를 반도체 학부로 승격시켰고, 베이징대와 화중과기대는 7월 반도체 전문대학을 신설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분업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어느 국가도 자체 공급망으로 버틸 순 없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시 주석은 국부 펀드의 투자 확대와 대학 전문학부 설립 등 정책을 총동원하고 있지만, 현실은 쉽지 않다”며 “경제대국이 된 중국이 더 내부적으로 돌아선다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협력할 수 없어 자급률 목표 달성은 더 멀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뉴욕증시, 파월 “금리 인상 희박” 비둘기 발언에 안도…다우 0.23%↑
  • 단독 상호금융 '유동성 가뭄'…'뱅크런' 사실상 무방비
  • MZ 소통 창구 명성에도…폐기물 '산더미' [팝업스토어 명암]
  • "예납비만 억대"…문턱 높은 회생·파산에 두 번 우는 기업들 [기업이 쓰러진다 ㊦]
  • PSG, '챔스 4강' 1차전 원정 패배…이강인은 결장
  • 경기북도 새이름 '평화누리특별자치도'…주민들은 반대?
  • “즐거우세요?” 밈으로 번진 방시혁-민희진 내분…‘하이브 사이비’ 멱살 잡힌 BTS [해시태그]
  • 소주·맥주 7000원 시대…3900원 '파격' 가격으로 서민 공략 나선 식당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09: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687,000
    • -4.17%
    • 이더리움
    • 4,215,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98,000
    • -2.84%
    • 리플
    • 736
    • +3.23%
    • 솔라나
    • 188,300
    • +4.79%
    • 에이다
    • 635
    • +1.28%
    • 이오스
    • 1,106
    • +2.6%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56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250
    • -3.86%
    • 체인링크
    • 18,840
    • +1.02%
    • 샌드박스
    • 599
    • +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