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에어부산 분리매각, 불필요한 무리수 둘 필요 없다

입력 2024-01-21 16:10 수정 2024-01-21 16: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항공업계에 가장 큰 화두는 역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이다. 국내에 두 곳밖에 없는 대형항공사(FSC)의 결합은 그 자체로 항공업계의 지각 변동을 가져올 만한 큰 변화다.

양사의 결합과 함께 따라오는 관심사는 각사가 보유한 저비용항공사(LCC)의 통폐합 문제다. 현재 대한항공은 진에어,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에어서울을 관계 기업으로 두고 있다. 이중 아시아나항공이 지분 100%를 소유한 에어서울과 달리 에어부산에 대해서는 부산을 중심으로 분리 매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에어부산은 처음부터 아시아나항공(지분율 41.91%)과 부산광역시, 부산은행, 이외 부산 지역 기업들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항공사다. 부산을 중심으로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요구하는 이유를 유추할 수 있는 대목이다. 에어부산은 사실상 국내 유일의 지역 기반 항공사로 영남권에서 높은 입지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산업’이라는 특수성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업계 한 편에서는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 요구가 기업 경영 이외에 ‘정치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실제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이 이뤄질 경우 에어부산의 존속이 오히려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에어부산의 지분을 보유한 부산의 지역 기업들이 에어부산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지분이 비슷한 여러 기업으로 인해 경영이 오히려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난해 에어부산의 여객 수송 실적(한국공항공사 통계 기준)은 997만 명으로, 다른 LCC 기업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에어부산과 비슷한 실적을 기록한 항공사는 티웨이항공(1061만 명), 진에어(1060만 명) 등이다. 한 해 동안 약 1000만 명이 에어부산을 이용했다는 의미로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다.

이처럼 LCC 업계에서도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은 오히려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멀쩡한 항공사를 되려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 던지는 것과 다르지 않다. 자금 환경에서도, 향후 통합 LCC의 출범으로 안정화될 경영 환경에 있어서도 에어부산까지 통합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 불필요한 분리 매각으로 에어부산의 생존을 어렵게 만들 이유는 단 하나도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뉴욕증시, 파월 “금리 인상 희박” 비둘기 발언에 안도…다우 0.23%↑
  • 단독 상호금융 '유동성 가뭄'…'뱅크런' 사실상 무방비
  • MZ 소통 창구 명성에도…폐기물 '산더미' [팝업스토어 명암]
  • "예납비만 억대"…문턱 높은 회생·파산에 두 번 우는 기업들 [기업이 쓰러진다 ㊦]
  • PSG, '챔스 4강' 1차전 원정 패배…이강인은 결장
  • 경기북도 새이름 '평화누리특별자치도'…주민들은 반대?
  • "하이브 주장에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려드립니다" 어도어 민희진 입장 표명
  • '금리 동결' 앞에 주저앉은 비트코인, 6만 달러 붕괴…일각선 "저점 매수 기회"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13:5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914,000
    • -4.75%
    • 이더리움
    • 4,120,000
    • -2.78%
    • 비트코인 캐시
    • 586,000
    • -3.54%
    • 리플
    • 722
    • +1.55%
    • 솔라나
    • 183,200
    • +3.15%
    • 에이다
    • 627
    • +0.32%
    • 이오스
    • 1,102
    • +3.38%
    • 트론
    • 172
    • +1.78%
    • 스텔라루멘
    • 154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650
    • -4.89%
    • 체인링크
    • 18,630
    • -0.11%
    • 샌드박스
    • 590
    • -0.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