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수소산업 러브콜 보내는 중동

입력 2024-01-30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창규 민간LNG산업협회 부회장

오일머니 대체할 새 성장동력 모색
산업화 성공한 한국과 협력 기대커
한·중동 에너지산업서 시너지 찾길

오만은 석유와 가스의 수익 비중이 재정의 70%가 넘고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과 이웃한 아라비아반도의 왕국이다. 게다가 이란 위협이 상존하는 호르무즈 해협과 예멘 내전의 위험에 노출된 수에즈 운하에서도 벗어난 전략적 거점 국가이다.

한 달 전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수소 서밋이 열렸다. 이 자리에는 한국의 대표적 수소 선도 기업인 포스코, GS, 삼성 등 대기업과 선보, 지필로스 등 중견 기업들이 참석했다. 수소 서밋과 전시 등과 별도로 필자가 만난 오만의 장·차관과 국부펀드 회장 등은 한결같이 수소 비즈니스와 탄소 기술 및 저장(CCUS) 분야에서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희망하고 있었다.

작년 10월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카타르 순방을 계기로 한국과 중동 산유국 간의 비즈니스 마인드가 더욱 가까워졌다. 당연히 에너지 협력이 정상회담 의제로 거론되었지만, 특히 수소 비즈니스와 관련 기술 및 인프라에 대한 프로젝트도 논의의 중심에 있었다. 산유국 중동이 석유와 가스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우리나라에 수소와 CCUS 파트너십을 요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어떤 면에서 석유·가스 왕국의 수소 및 CCUS 프로젝트에 최적의 파트너로 여겨지는 것일까?

아마도 중동 산유국의 눈에 비친 한국의 산업과 경제가 단지 세계 10위권의 교역과 GDP를 창출한다고 그리 인식된 것은 아닐 것이다. 게다가, 아무 부존자원도 없는 우리나라의 기술력과 인적 자본만 쳐다볼 리 만무하다. 수소 시대를 선도할 기술과 고급인력은 미국 이외 유럽, 일본, 중국 등 우리 말고도 다수 있으며, 이들 국가와의 협력은 역사적으로나 전략적으로 우리보다 자연스럽다.

금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를 살펴보면 왜 중동 산유국의 수소 파트너로 한국이 최적인지 엿볼 수 있다. 글로벌 톱3 자동차 회사인 현대자동차가 수소를 비즈니스 모델로 제시하였을 뿐 아니라 SK에서도 수소와 에코 경제를 주제로 전시장을 꾸미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삼성과 LG 등 대부분의 기업들도 AI·데이터 시대에 발맞추어 혁신 솔루션을 선보였지만, CES에서 수소가 AI·데이터 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은 과거 가스(LNG) 수입에 필요한 배관망 네트워크 및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고 효율적인 운용 경험이 축적되어 있다. 앞으로 수소 산업과 경제가 중동 산유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망됨에 따라 수소 비즈니스와 거의 동일한 LNG 산업의 성공 경험을 높이 산 것도 한몫했다. 산업과 경제를 지탱하는 석유와 가스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이 세계 5위의 석유화학산업을 보유하고 반도체·배터리·전기차 등을 통해 AI·데이터 시대를 이끄는 것을 목도했기 때문일 것이다.

중동 산유국의 입장에서는 수소에너지를 활용한 수송과 전력 등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과거 한국이 석유화학산업이나 LNG 선박처럼 펼쳐나가길 기대한다. 그래서 한국이 AI·데이터 시대에 적합한 수소 동력원을 가장 잘 활용할 것으로 믿는다. 한국이 짧은 시간에 LNG 산업 시스템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축하였기 때문에 수소 분야에서도 잘할 것이라는 기대가 담겨있으리라 본다.

이제 우리가 이러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원하는 중동 석유·가스 왕국과 어떻게 AI·데이터 시대에 맞추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지 고민할 때다. 우리나라는 조선산업에서 해양플랜트, 해상풍력 등으로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반도체에서 디스플레이와 태양 분야(Solar Industry)로 산업 가치를 확장한 경험과 DNA를 지니고 있다. 중동 산유국의 시각에서 볼 때 앞으로 한국이 배터리 등 에너지 산업에서도 연료전지, 전기차·수소차, 그리고 수소 전력 등의 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희망하고 있다.

과거 석유화학 분야처럼 이제는 LNG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글로벌로 펼치고, 중동 석유·가스 왕국에서 수소 비즈니스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AI·데이터 시대에 부응하는 글로벌 성장동력의 확보와 비즈니스 기회를 통해 에너지 산업의 글로벌화를 펼쳐나가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내년도 의대 증원분 1469명·총정원 4487명…법원 제동 ‘변수’, 입시 혼란↑
  • 단독 상호금융 '유동성 가뭄'…'뱅크런' 사실상 무방비
  • MZ 소통 창구 명성에도…폐기물 '산더미' [팝업스토어 명암]
  • "긴 휴가가 좋지는 않아"…가족여행은 2~3일이 제격 [데이터클립]
  • PSG, '챔스 4강' 1차전 원정 패배…이강인은 결장
  • 경기북도 새이름 '평화누리특별자치도'…주민들은 반대?
  • "하이브 주장에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려드립니다" 어도어 민희진 입장 표명
  • '롯데의 봄'도 이젠 옛말…거인 군단, 총체적 난국 타개할 수 있나 [프로야구 2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482,000
    • +0.03%
    • 이더리움
    • 4,127,000
    • +1.48%
    • 비트코인 캐시
    • 586,500
    • +0.51%
    • 리플
    • 726
    • +4.46%
    • 솔라나
    • 186,100
    • +9.15%
    • 에이다
    • 628
    • +3.63%
    • 이오스
    • 1,093
    • +6.22%
    • 트론
    • 173
    • +2.98%
    • 스텔라루멘
    • 152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000
    • +0.56%
    • 체인링크
    • 18,780
    • +4.33%
    • 샌드박스
    • 594
    • +3.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