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2.00%로 인하...주요국 기준금리와 비교해보니

입력 2014-10-15 22:39 수정 2014-10-15 22: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기준금리 인하

▲이주열 한은 총재가 15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 직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15일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연 2.0%로 인하, 주요국의 저금리 기조에 근접하고 있다.

한은은 이날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본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2.00%로 기존보다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 8월 2.50%에서 2.25%로 내린 지 두달 만에 다시 인하 결정을 내린 것. 이로써 한국 기준금리는 2009년 2월부터 17개월간 2.00%로 운영된 종전 사상 최저치와 같은 수준이 됐다.

주요국은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의 현재 기준금리는 0~0.25%로 2008년 12월16일 이후 75bp 인하했다. 유럽중앙은행은 지난 9월 4일 금융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05%로 10bp 인하했다. 영국 영란은행은 기준금리를 0.50%로 유지했다. 영란은행은 2009년 3월5일 이후 50bp 낮췄다. 자원부국 호주 연방준비은행은 기준금리를 2.50%로 유지 중이다. 영란은행은 2013년 8월6일 이후 25bp 인하했다. 일본의 기준금리는 0.1%로 2008년 12월 19일 이후 20bp 인하했다.

한국은행의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 4.0%로 제시했다가 7월에 3.8%로, 이번에 다시 3.5%로 연이어 하향 조정할 만큼 경기 회복세가 미약한데다가 유로존의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는 등 대외 악재도 심각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개월째 1%대를 기록할 만큼 물가 상승 부담은 크지 않고 경제주체의 심리 회복은 미약한 점도 고려됐다. 주요국들이 저금리 기조를 이어가는 것도 이와 유사한 이유에서다.

다만 한은 기준금리 인하가 실물경제 회복으로 충분히 이어질지에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가계와 기업이 현재 금리 수준이 높아서 소비와 투자를 주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면 전통적인 통화정책의 파급효과보다는 경제주체의 심리 회복에 영향을 미쳐 결국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감도 만만치 않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로 주목…'지역사랑상품권', 인기 비결은? [이슈크래커]
  • '2024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놀이공원·페스티벌·박물관 이벤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금융권 PF 부실채권 1년 새 220% 폭증[부메랑된 부동산PF]
  • "하이브는 BTS 이용 증단하라"…단체 행동 나선 뿔난 아미 [포토로그]
  • "'밈코인 양성소'면 어때?" 잘나가는 솔라나 생태계…대중성·인프라 모두 잡는다 [블록렌즈]
  • 어린이날 연휴 날씨…야속한 비 예보
  • 2026학년도 대입 수시 비중 80%...“내신 비중↑, 정시 합격선 변동 생길수도”
  • 알몸김치·오줌맥주 이어 '수세미 월병' 유통…"중국산 먹거리 철저한 조사 필요"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239,000
    • +5.95%
    • 이더리움
    • 4,388,000
    • +3.96%
    • 비트코인 캐시
    • 659,000
    • +6.46%
    • 리플
    • 749
    • +1.49%
    • 솔라나
    • 204,300
    • +4.18%
    • 에이다
    • 660
    • +3.45%
    • 이오스
    • 1,162
    • +1.04%
    • 트론
    • 174
    • +0%
    • 스텔라루멘
    • 157
    • +0.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650
    • +10.96%
    • 체인링크
    • 20,000
    • +3.25%
    • 샌드박스
    • 632
    • +2.76%
* 24시간 변동률 기준